[프라임경제] 부산시가 11년간 방치된 기장 해수담수화시설의 활용을 본격 추진한다.
시는 3일 오전 기장 해수담수화시설에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활용 방안을 설명하고, 공업용수 공급을 위한 기관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주민보고회에는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정동만 국회의원, 정종복 기장군수, 시·군의원 및 지역 산업단지 대표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박 시장은 이 자리에서 "해수담수화시설을 지속 가능한 물순환 시스템과 물 산업 혁신의 플랫폼으로 키워나가겠다"며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해수담수화시설의 1계열을 미래 물 산업 실증 플랫폼으로, 2계열을 하수처리수 재이용 기반 공업용수 공급 시설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1계열은 그린수소 생산, 염도차 발전, 농축수 자원 회수 등 차세대 기술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조성된다. 2계열은 인근 하수처리장의 처리수를 정수해 동부산 산업단지에 저렴한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날 보고회 직후 부산시는 한국수자원공사, 부산환경공단, 부산산업단지발전협의회, 고려제강·효성전기·금양·아산이노텍 등 기업들과 함께 '동부산 산업단지 공업용수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관련 기관과 기업은 공업용수 공급 안정화에 공동 대응하고 기술적·행정적 지원을 약속했다.
시는 두 계열 활용 방안을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추진할 계획으로, 1계열 실증시설 사업은 환경부와 협력해 사업비 확보와 실시설계를 추진하고, 2계열 공업용수 공급사업은 민간투자 방식(BTO)으로 진행해 적격성 검토 및 사업자 선정을 거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보고회는 해수담수화시설의 공공성 확보와 지역사회의 우려 해소를 위한 첫걸음"이라며 "앞으로도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해 상생형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