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 열풍'에 대외금융자산·증권투자 '역대 최대'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매입이 지속되며 2분기 대외금융자산과 증권투자가 나란히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다만 외국인 국내투자 증가 폭이 더 크게 나타나면서 순대외금융자산은 두 분기 연속 감소했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20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우리나라 대외금융자산은 2조6818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2조5168억달러) 대비 1651억달러 많은 사상 최대 규모다. 2분기 증가 폭도 역대 가장 컸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거주자의 증권투자는 1조1250억달러로 한 분기 사이 1132억달러 증가하며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자동차·이차전지 업종을 중심으로 한 직접투자도 8048억달러로 264억달러 늘었다.

외국인의 국내투자를 뜻하는 대외금융부채는 1조6514억달러로 전분기 대비 2186억달러 늘었다. 이는 지난 2020년 4분기(2403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증가 폭이다. 

증권투자는 국내 주가의 큰 폭 상승, 외국인 부채성증권 투자 확대 등으로 1860억달러가 증가했다. 직접투자도 지분투자를 중심으로 261억달러 늘었다. 

이로써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은 1조304억달러로 전분기 대비 536억달러 줄었다. 지난해 4분기 처음 1조달러를 돌파한 뒤 세 분기 연속 1조달러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나, 감소세는 이어졌다.

임인혁 한은 국외투자통계팀장은 "거래 요인에서 거주자의 해외 증권투자와 직접투자가 많이 늘었지만, 비거래요인에서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더 큰 폭으로 늘면서 순대외금융자산이 줄었다"며 "이는 2분기 국내 주가 상승 폭이 해외 주가 상승 폭을 웃돌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올해 2분기 중 다우존스는 5.0% 올랐고, 나스닥은 17.7% 상승했다. 일본과 홍콩 증시도 각각 13.7%, 4.1% 올랐다. 반면 코스피는 2분기 중 23.8% 치솟았다. 미 달러화 대비 원화가치도 올해 2분 중 8.1% 상승했다.

외채 건전성 지표는 소폭 악화됐다. 대외채권은 1조928억 달러로 전년 말 대비 414억달러 늘었다. 단기 대외채권은 예금취급기관의 대출금 중심으로, 장기 대외채권은 기타부문(증권사·자산운용사·보험사 등 금융기관과 비금융기업)의 부채성증권 중심으로 각각 184억달러와 231억달러가 증가했다. 

대외채무는 7356억달러로 외국인의 채권투자자금 유입 등의 영향으로 전년 말 대비 521억 달러 증가했다. 대외채권·채무는 금융자산과 대외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서 지분성 항목을 제외한 확정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잔액을 뜻한다.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3572억달러로 전분기 대비 107억달러 감소했다. 대외채무 가운데 만기가 1년 이하인 단기외채의 비중은 22.7%로 1분기 말보다 0.9%포인트(p) 커졌고,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의 비율(40.7%)도 4.3%p 높아졌다.

임 팀장은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 비율이 오르고 대외채무 대비 단기외채 비중도 늘었지만, 이는 대부분 외국인의 국내 단기 채권 투자가 확대된 영향인 만큼 대외 지급 능력이나 외채 건전성 모두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두 수치 모두 2022∼2024년 단기외채 비율 범위(33.7∼42.3%)나 같은 기간 단기외채 비중 범위(20.9∼28.0%)에 있다"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도 이날 보도자료에서 "단기외채 관련 건전성 지표가 다소 올랐지만, 과거 추이 내에서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글로벌 통상환경, 주요국 통화정책 등 대외 여건에 따라 글로벌 자금흐름과 투자심리가 급변할 수 있는 상황인 만큼 대외건전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서학개미 열풍'에 대외금융자산·증권투자 '역대 최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