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12일 서울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과학기술 인재 유출 방지와 유치 대책 마련을 위한 민관합동 TF를 출범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민관합동 TF는 글로벌 인재 확보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민간과 협력하는 조직이다. 젊은 과학기술 인재가 국내에서 성장·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국가 전략과 현장 수요에 맞춰 해외 우수 인재를 국내로 유치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TF 공동위원장은 구혁채 과기정통부 제1차관과 경계현 삼성전자 고문이 맡았다. 위원으로는 △과기정통부 △기재부 △교육부 △법무부 △국방부 △산업부 △복지부 △중기부 △특허청 등 9개 부처 실장급 인사와 과학기술자문회의 및 미래인재특별위원회 위원, 해외 유치 한인 연구자, 국제학 전문가, 기업 HR 부문장, AI 기업 대표 등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과기정통부는 TF 출범 전인 7월 초부터 관계 부처 국장급 실무 TF를 운영하며, 출연연·기업·대학·외국인 정주 여건 등 분야별 현장 의견을 5차례 청취하고 정책 아젠다를 발굴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공계 기피 △국내 양성 인재의 해외 유출 △재직자 사기 저하 등 과학기술 인재 생태계 전반의 문제를 재진단하고, 범정부 대책 구성 방향과 실무 TF에서 발굴한 후보 과제를 중점 검토했다.
향후 TF는 인재 유입-성장-취업-정착 등 전 주기에 걸친 추진 과제를 수요자 관점에서 발굴하고, 각 부처의 제도·재정 지원을 연계한 실행 방안을 9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구혁채 제1차관은 "지금 이 순간에도 해외 대학·기업·연구소로부터 제안을 받고 이직을 고민하는 인재들이 있을 것"이라며 "이번 회의가 이공계 인재들에게 대한민국에도 미래가 있다는 확신을 주는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 부처가 원팀으로 모든 지원 카드를 동원해 달라"며 과기정통부도 민간과 긴밀히 협의해 완성도 높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TF에서 마련할 대책을 '새 정부 제1호 인재 정책'으로 삼고,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작동하도록 후속 추진 체계와 정책 홍보를 위한 현장 소통도 병행할 방침이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