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정비사업 가시화' 효과로 인허가‧착공이 눈에 띄게 증가한 반면, 비수도권은 수요 부진 속 공급 축소가 뚜렷하다. 시장 전반은 침체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을 보이고 있지만, 실제 분양으로 이어지는 공급 실현성은 전반적으로 약화되는 모양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수도권 인허가(1만3792호)는 전년대비 53.3% 증가했다. 이중 서울(3569호)은 무려 73.8% 급증했다. 올초부터 본격화된 강남권 재건축을 비롯해 △목동 정비사업 △뉴타운 재개발 등 주요 도심 공급계획이 인허가 수치로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특히 서울의 경우 6월 한 달 기준 인허가량이 35% 늘었으며, 상반기 전체로도 2배 수준 증가폭을 보였다. 시장 체감과 달리 행정적 사업 추진이 빠르게 진척되고 있다는 의미다.
착공 실적을 살펴보면 수도권(2만416호)은 152.1% 증가했으며, 서울(2079호) 역시 2배 가까운(99.9%) 증가세를 기록했다. 물론 착공 허가에도 불구, 최근 경기 침체를 감안하면 실제 시공이 지연되거나 또는 연기되는 사례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분양 실적에서는 수도권‧서울 모두 뚜렷한 하강 국면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 분양(8832호)은 30.8% 감소했으며, 서울(946호)도 무려 56.1% 급감했다. 상반기 누계 기준으로도 각각 18.4%, 37.7%씩 줄었다.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고의로 지연하거나 사업성 재검토를 이유로 분양 자체를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특히 DSR 규제 강화, 고금리 지속 등으로 수요가 얇아진 상황에서 미분양 리스크 회피를 위한 '눈치 보기'가 분양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
비수도권은 한층 더 심각하다. 착공(8455호)은 전년대비 33.0% 감소, 상반기 누계로는 32.8%나 줄었다. 분양(6604호) 역시 30.2% 감소하며 이중 고립 양상을 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통계와 관련해 "공급 균형의 붕괴 가능성"이라며 "수도권 일부 지역 중심으로 공급이 몰리고, 비수도권은 공급 자체가 줄며 장기적으로 시장 내 지역 간 양극화가 고착화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아울러 현재 공급 확대 대다수가 정비사업에 편중된 만큼 분양시장 침체가 지속될 경우 조합도, 건설사도 모두 진퇴양난에 빠질 수 있다"라고 첨언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