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최주연 기자] 최근 SGI서울보증보험, 웰컴금융그룹, 롯데카드 등에서 해킹 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금융위원회가 금융권 보안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9일 '해킹 대응을 위한 과기정통부-금융위 합동 브리핑'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회적 파장에 상응하는 엄정한 책임을 질 수 있도록 징벌적 과징금 도입 등 방안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권 부위원장은 "보안 투자를 불필요한 비용으로 여기는 안일한 태도를 버려야 한다"고 지적하며, 국민 신뢰 회복을 위해 금융회사 전반의 보안 실태를 밀도 있게 점검하고 근본적인 제도 개선에 착수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대책으로는 △금융회사 CEO 책임의 전산시스템 및 정보보호 체계 긴급 점검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 권한 강화 △소비자 공시 강화 등이 포함된다. 또한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시스템 복구 및 피해자 구제가 이루어지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금융위 따르면 최근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296만9000명의 개인신용정보가 유출됐으며, 이 중 28만3000명은 카드 비밀번호와 보안코드(CVC)까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까지는 피해 사례가 없지만, 금융당국은 금감원 조사 결과에 따라 회사의 위규사항이 발견될 경우 '일벌백계' 차원에서 엄정하게 제재하겠다고 밝혔다.
권 부위원장은 "해킹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는 반면, 금융권의 대응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금융회사‧유관기관이 힘을 합쳐 '보안'이라는 든든한 체계로 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