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금산분리 예외 풀어야 스타트업 성장”

마이데일리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10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마이데일리 = 이호빈 기자]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금융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 서울 마포구 프런트원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에서 서 회장은 "스타트업에 돈을 줄 수 있는 곳은 벤처캐피털인데, 금산분리 제도로 인해 대기업이 자유롭게 투자하지 못하고 있다"며 "민·관·금융이 함께 들어오면 성공 확률이 가장 높다"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특히 기업형 벤처캐피탈(CVC)을 금산분리 적용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기업은 절대 망하는 곳에 투자하지 않는다”며 “대기업과 금융기관, 정부가 힘을 합치면 후배 기업들을 키울 수 있다. 대통령님의 오래된 숙제가 아닌가”라고 말했다.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도 힘을 보탰다. 그는 “CVC를 금산분리로 묶어 놓은 나라는 한국뿐”이라며 “꼭 예외를 인정해달라”고 건의했다. 진 회장은 “셀트리온이 5000만원을 투자하면 은행은 5억원을 투자할 수 있다”며 “저희 금융기관은 선구안이 부족하니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은 “대기업과 금융기관이 악용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두되, 제도를 손볼 필요가 있다는 점에 공감한다”며 “현장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모두발언에서 “지금처럼 담보를 잡고 이자만 받는 ‘전당포식 영업’에서 벗어나 생산적 금융으로 대전환해야 한다”며 혁신투자 중심의 금융 환경을 약속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국민성장펀드의 운용 방향도 논의됐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은 “150조원은 모든 기업에 나눠줄 개념이 아니라, 선구안을 가진 사람들이 투자처를 제대로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며 “2년 안에 해외 투자까지 포함하는 ‘국민성장펀드 2호’를 출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이에 “누가 투자처를 고르느냐에 따라 성패가 달렸다”며 “잘못하면 부패의 재원이 될 수 있다. 우려되는 점을 잘 조언해 달라”고 화답했다.

정부는 국민성장펀드를 당초 100조원에서 150조원으로 확대해 공공·민간 각각 75조원을 조성하고, 인공지능(AI), 반도체, 로봇, 바이오, 방산, 항공우주 등 첨단 전략산업과 지역성장 프로젝트, 혁신 벤처기업에 전략적으로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금산분리 예외 풀어야 스타트업 성장”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