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경제] 정책금융기관과 5대 금융지주가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품목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까지 267조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3일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5대 금융지주와 정책금융기관 등과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한국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은 관세위기에 대응해 내년까지 총 172조원을 지원한다. 이미 올해 초부터 지난달 말까지 63조원이 공급됐다. 지원 분야는 ▲경영애로 해소(36조3000억원) ▲수출다변화(33조3000억원) ▲산업 경쟁력 강화(91조5000억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11조원) 등 4대 분야 등이다.
산업은행은 지원 대상을 관세 피해 기업에서 수출 다변화 기업으로 확대하고, 지원한도도 중견기업은 50억→500억, 중소기업은 30억→300억으로 10배 증액할 계획이다. 대출 금리는 추가로 0.3%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5대 금융지주 역시 관세위기에 동참해 내년까지 95조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연초부터 8월 말까지는 약 45조원을 공급했다. 지원 상품은 금리 부담 경감, 수출·공급망 지원, 혁신 성장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으로 구성됐다.
금융위와 한국자산관리공사는 수출 기반 주력 산업의 사업재편과 재무 건전성 개선 지원을 위해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 6호 조성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석유화학과 2차전지,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산업 한계기업의 구조혁신을 집중 지원한다.
원활한 민간투자 유치를 위해 후순위 출자 비중을 기존 펀드 대비 확대(5%→10%)하고, 펀드 조성 금액의 60% 이상을 주력 산업에 투자한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관세지원은 숫자보다 피해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금융권이 스스로 책임의식을 가져야 한다"면서, "당국도 피해기업과 금융권과의 긴밀한 소통으로 실질적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