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9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1만1134세대로 집계됐다. 직방(대표 안성우) 조사에 따르면, 이는 직전월인 8월(1만6549세대)대비 약 33% 줄어든 수치다. 10월 역시 공급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이지만, 11월과 12월에 각각 2만 세대 이상 대규모 입주가 예정된 만큼 이번 감소는 공급 사이클 상 일시적 조정에 가깝다는 분석이다.

우선 수도권 입주 물량은 8월(9655세대)보다 무려 41% 줄어든 5695세대다. 서울(128세대)과 경기(4692세대), 인천(875세대) 모두 전월대비 모두 감소한다.
서울에서는 광진구 광장동에 위치한 포제스한강(128세대)가 입주를 시작한다. 모든 세대가 한강뷰를 보유한 하이엔드 주거단지로, 분양 당시 높은 분양가로 주목을 모은 바 있다.
경기는 남부 위주로 입주가 진행된다. 평택이 2621세대로 가장 많으며 △시흥 1297세대 △안성 474세대 △파주 300세대 순이다. 인천 지역은 검단신도시 '신검단중앙역우미린클래스원(875세대)'가 9월 중순 경 입주한다.
지방 역시 전월(6894세대)보다 21% 적은 5439세대 입주에 그친다. 이는 2022년 1월(3491세대) 이후 가장 적은 입주물량이다.
이중 충북 청주시 서원구 모충동 '한화포레나청주매봉'이 9월말, 입주 체제에 돌입한다. 서원구 모충동 일대에서 가장 큰 규모(1849세대) 단지로, 일대 랜드마크 단지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경남은 대상공원 인근에 위치한 힐스테이트창원더퍼스트(1779세대)가, 광주는 △남구월산동더퍼스트데시앙(565세대) △광산구 신창동 신창유탑리버시티(304세대)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한편 전문가들은 이번 공급 축소를 구조적 문제로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10월까진 공급 공백기가 이어지지만, 11월과 12월에는 각각 2만세대 이상 입주 물량이 예정됐다는 점에서 시장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9~10월에는 지역별로 일시적 가격 불안이 나타날 수 있지만, 연말 대규모 입주가 다시 균형을 맞출 것"이라며 "특히 수도권 대단지 입주가 본격화되면 전세시장 안정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내다봤다.
다만 6·27 대책 이후 자금 조달 환경이 악화된 점이 변수다.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된 동시에 소유권 이전등기 전 세입자 전세대출 이용이 불가능해지면서 수분양자들이 잔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는 전세금 인하 또는 월세 전환으로 대응하고 있다.
분양권 거래량 역시 크게 줄었다. 7월 수도권 분양권‧입주권 거래 건수(644건)가 전월(1074건)대비 약 40%나 감소했다. 입주시 전세보증금을 통한 자금 충당이 어려워지면서 신축 매수 수요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