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을 명분으로 한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에 중국 샤오미가 포함되면서 정책 취지와 어긋난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국내 대·중견 가전기업 매장은 빠진 반면, 지난해 매출 71조원을 기록한 중국 빅테크 기업의 국내 직영점이 혜택을 받는 상황이 벌어졌다.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IFC몰에 위치한 샤오미코리아 직영 매장은 지난 6월 문을 열었으며, 현재 국내 유일한 샤오미 직영점이다. 매장을 찾은 시민들은 TV, 스마트폰, 무선청소기, 전기밥솥 등 100여 종의 생활가전을 소비쿠폰으로 구매할 수 있다. 매장 직원은 “모든 제품에 소비쿠폰 적용이 가능하다”며 적극적인 구매를 권유했다.
문제는 정부가 소비쿠폰 사용처 제한 업종으로 ‘대형 전자제품 판매점’과 ‘대형 외국계 매장’을 명시하면서도, 샤오미 매장은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기준에 따라 사용처로 포함된 점이다. 반면 삼성스토어, LG베스트샵, 하이마트, 애플스토어 등 국내외 대형 가전 유통 매장은 모두 제외됐다.
전문가들은 영세 자영업자 지원 취지의 제도가 외국계 대기업의 판매 확대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외국계 매장에는 매출 규모와 관계없이 보다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논란이 확산되자 행정안전부는 “유흥·사행성 업종과 마찬가지로, 샤오미를 외국계 특수성을 고려해 소비쿠폰 제외 업종으로 지정하겠다”며 “국민 정서와 맞지 않는 기업을 계속 확인해 사용처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