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2025년 상반기 중고차시장은 전기차가 캐즘(Chasm)을 넘어 반등세를 보이며, 유종별 시세 흐름에서 유일하게 상승을 기록했다. 이번 분석은 단순한 유종별 강·약세를 넘어 차급·모델 수명주기·신차 라인업 변화가 중고차 시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전기차는 소형 SUV 중심의 가격 방어로 신뢰 회복 국면에 들어섰고, 디젤은 단종에 따른 공급 축소 효과가 반영됐다. 반대로 구형 하이브리드와 일부 대형 가솔린 모델은 중고차시장에서 가격 조정이 진행되는 중이다.
K Car(이하 케이카)가 1월 대비 7월 시세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시세가 1939만원에서 1853만원으로 4.4% 하락한 가운데 전기차는 0.8% 올랐다. 가솔린(-4.9%), 디젤(-4.1%), LPG(-4.6%)가 고른 하락세를 보인 반면, 하이브리드는 -5.7%로 하락폭이 가장 컸다.

쉐보레 볼트 EUV(+8.2%)를 비롯해 △KGM 코란도 이모션(+7.9%)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7.1%) 등 소형 전기 SUV가 가격 방어를 주도했다. 이는 2024년 하반기 화재 이슈로 꺾였던 전기차 수요가 제조사 중심의 신뢰회복, 실용 차급 선호 확대로 다시 살아난 결과다.
디젤 모델은 신차 단종 여파로 중고차 수요가 몰리며 전체 평균 대비 하락폭이 낮았다. 현대 차 △더 뉴 팰리세이드(+5.1%) △더 뉴 아반떼 AD(+4.3%) △i30(+2.0%) 등이 오히려 시세가 상승했고, KG 모빌리티 코란도 스포츠, 현대차 싼타페 DM, 기아 모하비는 가격이 연초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가솔린은 일부 고가·대형차의 하락 폭이 컸다. 르노 더 뉴 SM6(-14.3%), 쉐보레 올 뉴 콜로라도(-10.8%), 기아 더 뉴 K9 2세대(-8.6%), 제네시스 GV80 쿠페(-6.4%)는 감가율이 평균을 웃돌아 중고차 구매 타이밍으로는 매력적인 구간에 진입했다.
하이브리드는 구형 모델의 가격 하락이 두드러졌다. 현대차 투싼 4세대 하이브리드(-9.8%), 더 뉴 싼타페 하이브리드(-9.7%), 더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9.2%)가 대표적이다.
조은형 케이카 PM팀 애널리스트는 "올해 상반기 중고차시장은 전기차 시세가 회복되는 도잇에 하이브리드 구형 모델은 큰 폭으로 가격이 떨어진 시기다"라며 "차량 용도나 예산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만큼, 시장 흐름만 잘 살펴본다면 더 만족스러운 중고차 구매가 가능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