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마기수의 적정 몸무게는? 전검량·후검량 ‘마의 50kg’ 유지 필수

마이데일리
지난해 과천시장배에서 원평스톰에 기승해 우승을 차지한 임다빈 기수. /한국마사회

[마이데일리 = 이지혜 기자] 복싱이나 레슬링, 역도 등 스포츠선수가 체급 때문에 체중조절로 힘들어하는 것은 익히 알려진 일이다. 경주 역시 체중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부담중량’과 ‘검량’이라는 시스템이 있다.

핸디캡 전문위원은 경주마의 능력치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이른바 부담중량을 조정한다. 기본적으로 잘 뛰는 말은 무겁게 경험이 부족한 말은 가볍게 설정함으로써 공정한 경주시행과 함께 경주의 박진감을 높인다.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부담중량은 50kg에서 60kg까지 부여한다. 이는 기승 시 필요한 장구와 기수의 체중을 모두 합친 중량이다. 이를 감안했을 때 기수의 체중은 대체로 48kg에서 53kg를 유지해야 한다.

“경주가 주말에 있기 때문에 수요일 이후로는 저녁 약속도 잡지 않아요”

데뷔 6년 차를 맞이한 임다빈 기수의 말이다. 작년 3월 개인통산 100승 달성 이후 스포츠경향배에 이어 과천시장배에서 대상경주 첫 승을 달성하며 루키에서 차세대 선두주자로 성장하고 있다.

평소 철저한 경주분석과 자기관리로 유명한 임다빈 기수에게도 매주 넘어야할 산이 있는데 바로 체중관리다. 신장 168cm인 그는 경마 일에는 51kg를 지키고 경주가 없는 비경마일에도 54kg 안팎을 유지한다. 체지방률은 6%를 유지한다.

기수가 경주를 무사히 마치기 위해서는 경주 전 ‘전검량’과 경주 후 ‘후검량’이라는 계체량 과정을 반드시 통과해야 한다.

경주 출발 50분전, 검량실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흐르고 기수들은 자신이 착용할 장구를 모두 들고 체중계에 오른다. 체중이 낮을 경우 문제가 없지만 아슬아슬할 경우 기수들은 아침부터 물 한 모금 마시지 않고 단 100g이라도 낮추기 위해 노력한다.

김효정 기수./한국마사회

그래도 안되는 경우 체중조절 실패에 따른 기수교체를 해야 한다. 이 같은 일이 반복되면 프로로서 신뢰도에 타격이 되기 때문에 항상 적정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애쓴다.

후검량은 경주가 끝난 후에도 1~5위마와 심판위원이 지정한 말에 기승한 기수를 대상으로 측정한다. 전검량과 후검량 차이가 1kg를 초과할 경우 실격에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에 경주가 끝날 때까지는 마음 놓고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통상 경기 시작 14~24시간 전 계체량을 실시한 후 실제 경기 직전까지 체중을 최대한 회복시키는 권투나 레슬링 같은 종목과 다른 점이다.

특히 경마는 혹서기와 혹한기, 명절 등을 제외하고는 경주가 연중 시행되기 때문에 비시즌 없이 계속해서 동일한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체중관리는 곧 기본중의 기본이자 극한의 자기관리를 요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굶는 다이어트는 가라! 건강한 레시피 찾아보며 건강한 다이어트 하세요.”

데뷔 9년 차, 96년생 김효정 기수의 말이다.어릴 때부터 지속해 온 테니스를 비롯해 주짓수, 러닝 등 그룹 또는 혼자 즐길 수 있는 운동을 혼합해 다양하게 즐기고 있다.

김효정 기수는 “굶는 다이어트는 반드시 요요를 동반하고 남들을 따라하기보다 내 상황과 성향에 맞는 다이어트 방식을 찾아야 한다”며 “저는 프로페셔널로써 정말 힘들 때는 초콜릿 한알에 의지해 고비를 넘기기도 하지만, 여러분은 시중에 나와 있는 건강한 레시피 등을 적극 활용하셔서 몸도 마음도 건강한 다이어트를 하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경마기수의 적정 몸무게는? 전검량·후검량 ‘마의 50kg’ 유지 필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