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미래…'고용은 지킨다·공장은 옮긴다'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재건을 위한 노사 최종 합의가 30일 발표되며, 지역사회는 기대와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광주1공장 부분 가동과 함평신공장 건설을 핵심으로 한 이번 합의는 1년 넘게 이어진 이전 논란에 전환점을 마련한 동시에, 지역경제 회복의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노사 합의에 따르면, 광주1공장은 올해 10월부터 하루 4000본의 생산을 시작해 부분 재가동에 들어가며, 이후 단계적으로 6000본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동시에 함평 빛그린산단 내 신공장은 2027년 말까지 1단계 연 530만 본 생산 규모로 건설한 뒤, 2028년 1월 본격 가동을 시작한다. 궁극적으로는 광주공장 부지 매각과 연동해 함평에 제2공장까지 신축, 연간 1500만 본의 생산 체계를 갖추게 된다.

합의의 핵심은 '고용 보장'이다. 금호타이어는 현재 모든 구성원에 대해 고용을 유지한다는 원칙을 분명히 했으며, 이에 노동조합도 조건부 이전에 합의했다. 이는 고용불안에 대한 지역사회의 가장 큰 우려를 일정 부분 해소하는 조치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금호타이어와 협력해온 160여 개 지역 부품업체에도 고무적인 소식이다.

광주시는 이날 공식 입장을 통해 "노사 간 성숙한 대화와 타협으로 합의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하며, 앞으로도 이전 실행계획 수립과 부지 용도 변경, 지역경제 보호 등 모든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시는 8월 중 금호타이어 측과 공장이전 로드맵 및 '이전 지원단' 구성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이번 합의는 금호타이어 재건을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며 "화재로 피해를 입은 시민들에 대한 보상과 고용 유지, 협력업체 생존 대책 마련이 뒤따라야 진정한 시민의 경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민단체와 지역 노동계 역시 신중한 환영의 뜻을 밝혔다. '금호타이어 정상화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는 "전 구성원의 고용 보장과 생산 물량 유지가 명문화된 것은 긍정적"이라면서도 "부지 매각 수익이 국내 공장 투자로만 쓰이도록 명확한 장치가 필요하며, 고용노동부의 고용위기지역 지정과 정부 차원의 피해보상이 여전히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이번 합의는 금호타이어 측이 지난해 함평 빛그린산단 이전 계획을 공식화하면서 불거진 전면 이전 논란에서 비롯됐다. 당시 회사는 노후설비와 생산 효율성을 이유로 들었지만, 노동계는 "고용 보장 없는 이전은 사실상 광주 철수"라고 반발했고, 광주시는 물론 광산구의회, 시민단체 등도 강력히 대응에 나섰다.

결국 금호타이어는 올해 초 공장 화재 이후 전면 이전 대신 단계적 이전과 부분 복구라는 중간 해법을 택하며 노사 협상에 나섰고, 지난 한 달여 간의 집중 협의 끝에 조건부 이전 및 고용 보장이라는 절충안을 도출해냈다.

그러나 이번 합의가 곧바로 문제의 종결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시민사회는 광주공장의 부지 매각 일정과 용도 변경 문제, 협력업체들의 장기 생존 방안, 피해 주민들에 대한 보상 여부 등을 남은 과제로 지목하고 있다. 또한 광주공장 이전 시기가 부지 매각과 연계된 만큼, 매각 지연 시 신공장 건설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산업은행과 고용노동부의 역할도 주목된다. 시민대책위는 "2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공장 이전 및 재건 과정에서 적극적이고 책임 있는 조율자 역할을 해야 하며, 정부 차원의 고용위기지역 지정과 예산 지원도 신속히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재건 노사 합의는 지역사회와 기업 간 이해 충돌을 대화로 풀어낸 대표 사례로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합의는 시작일 뿐, 실행과정에서의 책임 있는 이행, 시민과의 지속적인 소통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다시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계기관과 기업, 지역사회 모두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미래…'고용은 지킨다·공장은 옮긴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