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멀티모달·MoE AI 모델 동시 공개…AI 기술 자립 가속화

마이데일리
카카오가 경량 멀티모달 언어모델과 국내 최초 MoE 모델을 오픈소스로 동시 공개하며 독자 AI 기술 역량을 재차 입증했다. /카카오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카카오가 경량 멀티모달 언어모델과 국내 최초 MoE 모델을 오픈소스로 동시 공개하며 독자 AI 기술 역량을 재차 입증했다. 자체 모델 설계·개발 능력을 기반으로, 국내 AI 생태계의 기술 자립을 이끄는 행보다.

카카오는 24일 허깅페이스를 통해 이미지 이해와 지시 이행이 가능한 경량 멀티모달 언어모델 ‘Kanana-1.5-v-3b’와, 연산 효율성을 극대화한 MoE(Mixture of Experts) 언어모델 ‘Kanana-1.5-15.7b-a3b’를 공개했다. 모두 자체 개발한 Kanana 1.5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됐다.

‘Kanana-1.5-v-3b’는 텍스트와 이미지 입력 모두에 자연어로 응답할 수 있는 멀티모달 모델로, 글로벌 공개모델 GPT-4o에 필적하는 이미지 이해력을 갖췄다. 한국어 벤치마크에서는 유사 모델 대비 최고 성능을 기록했고, 영어 벤치마크에서도 글로벌 오픈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보였다. 경량 모델임에도 높은 지시 이행률을 확보했으며, 인간 선호 반영 학습과 지식 증류 기술로 성능을 극대화했다.

함께 공개된 ‘Kanana-1.5-15.7b-a3b’는 국내 최초 공개된 MoE 모델이다. 추론 시 전체 15.7B 파라미터 중 3B만 활성화되도록 설계돼, 컴퓨팅 비용은 줄이면서도 성능은 유지했다. 업사이클링 방식을 적용해 기존 모델을 효율적으로 확장했고, ‘Kanana-1.5-8B’ 모델 수준의 성능을 구현했다. AI 인프라 비용 부담이 큰 중소기업, 연구기관 등에 실용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카카오는 이러한 기술적 성과를 바탕으로, 과기정통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향후 에이전트형 AI 구현에 필요한 추론모델도 공개할 예정이며, 국산 AI 모델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카카오 김병학 카나나 성과리더는 “이번 오픈소스 공개는 비용 효율성과 성능을 동시에 달성한 결과물로, AI 기술 자립과 서비스 적용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충족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카카오, 멀티모달·MoE AI 모델 동시 공개…AI 기술 자립 가속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