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이보라 기자] 일반 은행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이 20년 만에 최고치를 새로 썼다. 신용 점수가 낮은 차주들이 2금융권에서도 대출받기 어려워지자 단기 카드 대출을 쓴 영향이다.
23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5월 일반 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4.2%로 0.6%포인트(p) 올랐다. 지난 2005년 5월 5%를 기록한 뒤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일반 은행은 금융지주 산하에서 카드 사업을 분사한 시중은행과 기업은행 등 특수은행을 제외한 곳이다.광주·경남·부산·전북은행 등 지방은행이 대부분이다.
카드 대출은 단기 대출인 현금 서비스와 장기 대출인 카드론 등이다.
은행 카드 대출 연체율은 2023년 12월 2.8%에서 2024년 1월 3%로 올라섰다. 이후 계속 3%대에 그쳤다. 지난해 10월과 11월 연달아 3.4%를 기록한 뒤 12월 3.1%로 횡보했다. 올 들어 1월 3.5%, 2월 3.8%, 3월 3.5%, 4월 3.6% 등을 기록한 뒤 5월 4.2%로 치솟았다.
1·2금융권 대출이 어려워지자 카드론 등으로 급전을 빌린 차주들이 상환에 밀린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대출을 당겨쓴 다중 채무자들이 마지막으로 카드 대출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
최근 1금융권은 상대적으로 신용점수가 높은 고소득자를 대상으로 신용대출을 내줬다. 2금융권도 신규 대출 영업을 자제했다.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지난 5월 말 95조7067억원으로 나타났는데 2021년 10월 이후 3년7개월 만에 최저치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