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고용 연계' 계명대, 지자체-지역대학과 글로컬대학 실현 공동협력체계 구축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계명대학교(총장 신일희)가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글로벌 브릿지 대학 실현을 위한 공동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가동에 나선다.


계명대는 22일 대구시청 동인청사에서 대구시, 달서구, 달성군을 비롯해 지역 8개 대학들과 함께 '글로컬대학 실현을 위한 국제인재 양성 및 지역 일자리 생태계 조성 공동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정주형 계약학과 운영과 일자리 플랫폼 구축 등을 위한 전략적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이번 협약은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국제인재를 양성하고 지속가능한 일자리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각 기관은 대구-계명국제교육원 산하 '글로컬일자리주식회사'설립과 'On Site 계약학과' 운영으로 정주형 교육-고용 연계 모델 구현과 함께 국제학생 중심의 실무형 커리큘럼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지역과 대학이 공동으로 국제인재 유치와 정착, 고용을 연계하는 새로운 고등교육 생태계를 모색해 한국형 '대학 국제화 모델'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대구광역시는 글로컬일자리주식회사 체계 구축과 공공부문 일자리 수요 발굴을 지원하고, 달서구와 달성군은 행정 협력을 통해 지역 특화형 일자리 모델과 주민참여형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필요 시 일자리 플랫폼 구축에 공동출자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검토한다. 

계명대는 글로컬일자리주식회사 설립과 운영, On-Site 계약학과 기획 및 운영을 총괄하며, 국제학생 중심의 실무형 커리큘럼을 설계한다. 협력대학들은 교육과정 공유, 학점 교류, 한국어 집중교육, 지역사회 기반 실무과제 수행을 맡는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대구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교육과 산업, 일자리가 연결되는 지역혁신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면서 "글로컬일자리주식회사는 외국인 유학생의 정주 및 고용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지역 국제화의 필수 영역이며, 이를 위해 지역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지역 특성과 자원을 반영한 맞춤형 일자리 모델을 발굴해 지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최재훈 달성군수는 "국내외 청년들이 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일할 수 있도록 생활환경과 지원 시스템을 갖추는 데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신일희 계명대 총장은 "이번 협약은 지역사회와 함께 글로컬대학의 실질적 모델을 만들어간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글로벌 인재가 지역에 정착하고, 지역이 세계로 확장되는 연결고리를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 달서구, 달성군과 함께 이번 협약에 참여한 협력대학은 계명대학교를 비롯해 경북대, 계명문화대, 대구공업대, 대구과학대, 대구보건대, 수성대, 영남이공대, 영진전문대 등 9개교다. 협약 체결 이후 기관별 역할에 따른 세부 실행 계획이 마련될 예정이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교육-고용 연계' 계명대, 지자체-지역대학과 글로컬대학 실현 공동협력체계 구축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