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광주상공회의소(회장 한상원)가 지역 자동차산업의 이중구조 해소와 인력난 완화를 위해 기업 맞춤형 지원정책을 본격 추진한다.
광주상의는 '2025년 자동차산업 상생협약 확산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근로환경 개선뿐 아니라 신규 채용 장려, 근속 유도, 재직자 복지 확대 등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정책을 확대 운영할 방침이다.
광주상공회의소는 지역 자동차업종 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고용 안정을 위해 다양한 맞춤형 지원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먼저, '도약장려금' 제도를 통해 만 35세부터 59세까지의 신규 근로자를 채용한 기업에 월 6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총 360만 원을 지원한다. 이는 중장년층 고용을 장려하고, 안정적인 채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이다.
또한, '안착지원금'은 만 18세부터 59세까지의 신규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이상 근속할 경우, 3개월과 6개월 시점에 각각 100만원씩, 총 200만원을 지급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이직률을 낮추고 장기 근속을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재직자 복지 강화를 위한 건강검진비 지원도 실시된다. 기업에 재직 중인 근로자 1인당 최대 30만원까지 검진비를 지원해 직원들의 건강관리와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광주상의는 이들 정책을 통해 지역 내 기업의 인력난 해소는 물론, 고용의 질 개선과 복지 수준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외에도,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노사발전재단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홍보영상 제작 △청년 직장적응 지원 △중장년 경력 전환 프로그램 등 다양한 연계사업도 함께 운영 중이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단순한 환경개선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인력 유지와 복지 수준 향상까지 종합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자동차산업 내 상생의 토대를 구축해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높여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21일 광주상의는 상의회관에서 공동이용시설 개선 지원사업에 선정된 현대·기아차 협력업체 17개사와 간담회를 열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며 각종 지원정책에 대한 설명회를 함께 진행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