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사그라들지 않는 강선우 갑질 논란

시사위크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보좌진 갑질’ 논란으로 연일 정치권이 시끄러운 가운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강 후보자 엄호에 나서고 있다. 사진은 강 후보자가 지난 14일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보좌진 갑질’ 논란으로 연일 정치권이 시끄러운 가운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강 후보자 엄호에 나서고 있다. 사진은 강 후보자가 지난 14일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시사위크=전두성 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논란으로 연일 정치권이 시끄러운 가운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강 후보자 엄호에 나서고 있다. ‘갑질은 주관적 측면이 있지 않은가’, ‘일반적인 직장 갑질과 보좌진·의원 관계 갑질은 성격이 다르다’ 등의 주장이 나온 것이다.

◇ ‘과도한’ 옹호에 당내서도 비판

백승아 원내대변인은 22일 원내대책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강 후보자 논란에 대해 “당내에서 여러 가지 의혹이 있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라면서도 “당에선 입장이 처음부터 변화한 점은 없다”고 밝혔다.

김현정 원내대변인도 전날(21일) YTN 라디오에서 “강선우 의원 같은 경우 우리가 그 후보를 검증할 때, 도덕성뿐만 아니라 전문성도 같이 본다”며 “두 가지를 균형 있게 봐야 하는데, 전문성·자질과 관련된 문제의 소지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갑질은 아무래도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측면이 있지 않은가”라며 “두 명의 (강 후보자) 전직 보좌진이 의혹을 제기한 것으로 언론 보도를 통해 계속 나왔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최근엔 전·현직 보좌진에 반대된 진술도 많이 나왔다고 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민주당의 강 후보자 옹호 기류는 지난주 ‘국민 여론’을 강조했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사실상 강 후보자를 임명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상항에서 보조를 맞추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이날 강 후보자를 비롯해 안규백 국방부·권오을 국가보훈부·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재송부를 국회에 요청했다. 재송부 시한은 오는 24일까지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가 시한 내에 보고서를 채택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이 10일 이내로 요청할 수 있고 이후엔 임명이 가능하다. 이는 사실상 강 후보자를 포함해 4명의 장관 후보자를 이번 주 내로 임명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과도한 옹호에 나서자 민주당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사진은 김병기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2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과도한 옹호에 나서자 민주당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사진은 김병기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2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이러한 가운데 민주당 일각의 과도한 강 후보자 옹호에 대해 민주당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에 나와 “일반적인 직장 내 갑질과 보좌진·의원 관계에 있어서 갑질은 약간 성격이 다르다”며 “직장이라는 개념도 있지만, 보좌진과 의원은 동지적 관점도 있고 그 과정에서 서로 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경우 이게 갑질로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보좌진 중에서도 열심히 그런(사적인) 일을 하면서도 불만 없이 잘 해내는 보좌진도 있고 불만을 갖는 보좌진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자 같은 당 이소영 의원은 페이스북에 “오늘 한 분의 의원님께서 ‘일반적인 직장 내 갑질과 의원-보좌진 관계는 성격이 다르다’고 주장하셨으나, 그 말씀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직장 상사와 직원의 관계, 의원과 보좌진의 관계는 한쪽이 인사권을 갖고 있고 서로 간 위계가 존재한다는 측면에서 본질적으로 같다”고 반박했다.

이 의원은 “특정 의원실의 일에 대해 제가 사실관계를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보좌진-의원 간의 관계에 대해 오래 묵은 이슈가 분출된 상황에서 ‘우리는 특수관계여서 괜찮다’거나 ‘보좌진은 일반 노동자와 다르다’는 식의 주장을 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라며 “이런 주장은 노동 감수성을 강조해 온 우리 민주당에 걸맞지 않다”고 적었다.

문 원내수석의 발언에 국민의힘도 공세에 나섰다. 박민영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문 원내수석은) 2차 가해 발언을 늘어놓았다”며 “이재명 정권과 민주당의 인식 그 어디에도 사회적 약자와 피해자는 없다. 정권 출범부터 을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국민과 기싸움하는 정부·여당에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고 직격했다.

◇ 끊이지 않는 ‘자진 사퇴·지명 철회’ 요구

이러한 상황에서 진보 진영 내부에서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나 이 대통령의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연이어 나오고 있다. 

권영국 정의당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윤석열 이후의 첫 여성가족부를 부적격자에게 맡길 수는 없다”며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전날 강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를 요구했다. 민주노총은 “강 후보자는 성평등 의제에 대한 전문성과 정책 추진력, 시민사회와의 소통 능력 모두에서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며 “게다가 보좌진에 대한 갑질 의혹과 거짓 해명 논란은 더욱 심각한 문제다. 사회적 약자의 인권을 보호해야 할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가 직장 내 약자에게 부적절한 언행을 하고 그 사실을 은폐하거나 왜곡하려 했다는 의혹은 공직자로서 자격에 중대한 결함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한국 여성단체연합 등 전국 여성단체 92개와 참여연대 등도 같은 날 강 후보자의 지명 철회를 촉구하는 입장문을 냈다. 또한 문재인 정부 당시 여성가족부 장관을 지낸 정영애 전 장관은 강 후보자가 과거 지역구 관련 민원을 들어주지 않자, 여성가족부 일부 예산을 삭감했다는 취지로 폭로하기도 했다.

이에 민주당 내에서도 강 후보자가 재차 사과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강득구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에 나와 정 전 장관의 폭로와 관련해 “강 후보가 그 배경에 대해 어떤 입장이었는지 한번 얘기를 들어봐야 한다”면서도 “(정) 전 장관께서 그렇게 생각했다면 (강 후보자가) 사과할 부분은 진정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강 의원은 ‘의혹이 추가되면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 가능성도 있는가’라는 질문에 “현재까지 나온 메시지로 봐선 자진 사퇴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고 밝혔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쉽게 사그라들지 않는 강선우 갑질 논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