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상승 탄력…국내 증시 '3000조원 시대' 개막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국내 증시(코스피·코스닥·코넥스) 시가총액이 10일 사상 처음으로 3000조원을 넘어섰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증시의 시가총액은 총 3020조7694억원으로 집계됐다.

시장별로 살펴보면 코스피 시총은 2603조7392억원, 코스닥과 코넥스는 각각 413조8598억원, 3조1704억원으로 조사됐다.

국내 증시 시가총액이 3000조원대를 기록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최근 지수 상승세에 코스피 시총이 이날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영향이 크다.

지난해 말 1963조3288억원이던 코스피 시총은 올해초 2000조원대로 올라섰다. 특히 지난달 말 2500조원대에서 등락했다. 이날은 2600조원을 넘어섰다.

국내 증시 시총이 늘어난 것은 최근 코스피, 코스닥 지수가 탄력을 받으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영향이 크다. 코스피 지수는 월간 기준 지난 4월부터 이달까지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4월 3.04%이던 월간 수익률은 5월과 6월 각각 5.51%, 13.86%로 뛰었다.

7월 들어서는 3.63%로 다소 상승세가 약해졌으나, 지난달 급등으로 차익 실현 압박이 커지고 있고 이달 초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이 컸던 상황임을 고려하면 선방하고 있다는 평가다.

상장 주식 수가 늘어난 영향도 있다. 이날 국내 증시에 상장된 주식 수는 1204억7642만주로 지난해 말(1193억5495만주)보다 늘었다.

코스피 지수가 어느덧 3,200선 회복을 목전에 두며 단기 급등에 따른 레벨 부담 우려도 제기되나, 증권가에서는 추가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다수 나온다.

코스피지수가 연일 연고점을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사상 최고치를 넘어설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코스피 사상 최고치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이었던 2021년 6월25일 기록했던 장중 3316.08p다.

증권가는 하반기에도 추가경정예산(추경)과 자본시장 제도 개선을 통해 강세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코스피 상단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IBK투자증권은 이날 올해 코스피 상단을 기존 3100에서 3400으로 상향 조정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하반기 코스피 밴드를 기존 2600~3150에서 2900~3550으로 수정했다.

이수정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023년 3월 도쿄증권거래소는 상장 기업들에 주주환원 확대 등 경영 체질 전환을 강하게 촉구했고, 외국인 투자자의 호응을 얻으며 이듬해 신고가를 경신했다"며 "한국 증시의 추가 상승 동력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코스피·코스닥 상승 탄력…국내 증시 '3000조원 시대' 개막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