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규영 "이진욱 살린 이유? '사랑일지도' 농담 오갔지만…딸 감정 투영" [MD인터뷰②]

마이데일리
배우 박규영 / 넷플릭스

[마이데일리 = 김하영 기자] 배우 박규영이 '오징어 게임3' 속 '노을' 캐릭터에 담긴 내면과 감정선을 들려줬다.

박규영은 2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마이데일리와 만나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3' 관련 인터뷰를 진행했다.

'오징어 게임3'는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고 만 '기훈'(이정재)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이병헌),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 이야기다.

극 중 박규영은 북에 두고 온 어린 딸을 찾기 위해 돈을 모으는 것이 유일한 목표인 '노을' 역을 맡았다. 게임장 밖에서 우연히 마주쳤던 '경석'(이진욱)이 참가자로 등장하자 그를 예의주시하게 되고 박규영은 그런 '노을'의 복잡한 내면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작품을 마친 소감에 대해 박규영은 "신이 많지 않았지만 노을로서 보여드려야 하는 부분은 최선을 다해서 표현했다. 끝을 보여드릴 수 있어서 속이 시원한 마음도 있다"고 말했다.

노을은 게임 참가자가 아닌 '핑크 병정'으로 활약하는 인물이다. 신이 적은 것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냐는 질문에는 "대부분 혼자 촬영했기 때문에 배우들과 케미스트리를 만들 기회가 없었다"며 "그래서 오히려 시청자 입장에서 게임 장면을 영상으로 보게 됐을 때 더 몰입이 잘 됐다"고 웃었다.

작품 속 노을이 경석을 구하려는 서사에 대해 일부 시청자들이 의문을 제기하자, 박규영은 캐릭터의 감정선을 차분히 설명했다.

그는 "경석은 딸을 잃을 위기에 처했고 노을 역시 아이를 잃고 되찾고자 하는 의지가 강한 인물이었다"며 "경석의 상황이 노을에게 투영됐을 수 있고 경석의 아이를 구할 수 있다는 희망 자체가 자신의 딸을 향한 감정과 연결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감독님과 제작진 사이에서도 '노을이 이렇게 열심히 구하는 걸 보면 사랑에 빠진 건 아닐까'라는 농담이 오가긴 했다"며 "하지만 실제로는 사랑보다 깊이 자리한 상실감, 모성적 감정이 동기로 작용했다고 봐주시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실제 아이가 없는 배우로서 노을이라는 인물에 어떻게 감정을 이입했는지도 물었다. 박규영은 "저에게 있어서 아이는 곧 가족이다. 가족은 제 영혼의 일부와 같다"며 "가장 소중한 것을 잃은 사람의 마음이 어떨지 얼마나 큰 죄책감을 가질지 상상하며 연기했다"고 말했다.

앞서 황동혁 감독은 시즌1의 '새벽'(정호연)을 희망으로 상징화한 데 이어 노을은 희망이 꺼지는 인물로 구상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박규영은 "노을은 그간의 상처로 자기 감정 표현조차 못하는 인물"이라며 "감독님은 억양조차 드러나지 않으며 시선의 변화라든지 목소리조차 크게 낼 수 없는 기계적인 사람처럼 표현되길 바라셨다. 절망한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외적인 모습이라고 설명하셨다"고 디렉팅 과정을 공유했다.

그는 "노을은 인류에 대한 모든 애정을 잃은 상태였고 자살을 결심했었다"며 "하지만 기훈의 선택을 보고 그래도 인간에 대한 희망이 남아 있구나 싶었고 아이를 찾을 수 있다는 작은 불씨가 피어났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박규영 "이진욱 살린 이유? '사랑일지도' 농담 오갔지만…딸 감정 투영" [MD인터뷰②]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