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영실 기자 제46회 청룡영화상 주인공은 영화 ‘어쩔수가없다’(감독 박찬욱)였다. 최고 영예인 최우수작품상을 포함 무려 7개 부문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영화제를 뜨겁게 달궜다. 배우 손예진과 현빈은 첫 부부 주연상 동반수상 기록을 세웠다.
‘어쩔수가없다’는 지난 19일 개최된 제46회 청룡영화상에서 △최우수작품상감독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청정원 인기스타상 △음악상 △기술상을 수상했다. 12개 부문으로 올해 최다 노미네이션에 올랐던 ‘어쩔수가없다’는 총 7개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베니스국제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을 시작으로 토론토·런던·뉴욕 등 해외 유수 영화제를 휩쓸고 있는 ‘어쩔수가없다’는 국내 영화제까지 석권하며 좋은 흐름을 이어갔다. 특히 올해 개봉한 한국영화 중 가장 우수한 작품에 수여하는 최우수작품상을 받으며 작품성과 영향력을 인정받았다.
박찬욱 감독은 ‘공동경비구역 JSA’(2000), ‘올드보이’(2003), ‘헤어질 결심’(2022)에 이어 네 번째로 감독상을 받아 세계가 주목한 탁월한 연출력을 다시금 증명했다. 해외 일정으로 이날 행사에 참석하지 못한 박찬욱 감독을 대신해 이성민이 무대에 올라 박찬욱 감독의 수상 소감을 전했다.
박찬욱 감독은 “‘어쩔수가없다’는 처음 소설 원작을 읽었던 20년 전부터 줄곧 품어온 꿈이 이루어진 작품”이라며 “이 이야기를 한국 영화로 만들 수 있어서 얼마나 뿌듯했는지 모른다. 상상한 그 이상을 해준 배우, 스태프들과 함께 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처음 볼 때는 단순하고 코믹하지만, 여러 번 볼 때마다 점점 더 복잡하고 비극적으로 느껴지는 영화를 만들려고 노력했다”며 “심사위원 여러분께서 이 점을 알아봐 주셨다고 믿고, 고마운 마음으로 받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위기일수록 강해지는 미리로 새로운 연기 변신을 선보인 손예진은 ‘아내가 결혼했다’(2008) 이후 두 번째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과 청정원 인기스타상을 품에 안았다. 손예진은 “미리라는 캐릭터를 잘 만들어주신 박찬욱 감독님께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전했다. 특히 남편 현빈이 영화 ‘하얼빈’으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면서 부부가 동시에 주연상을 휩쓰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인기스타상까지 함께 수상한 현빈과 손예진은 수상 소감을 통해 서로를 향한 감사와 애정을 표해 뜨거운 박수를 받기도 했다.
이성민은 재취업이 절실한 업계 베테랑 범모를 깊이 있게 그려내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이성민은 “범모라는 멋진 캐릭터를 선물해 준 박찬욱 감독님 덕분에 이 상을 수상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해외에서도 우리 영화가 좋은 성과를 거두길 바란다”는 수상소감을 남겼다. 여우조연상은 영화 ‘히든페이스’에서 파격 변신을 선보인 배우 박지현이 쟁쟁한 후보들을 제치고 호명됐다.
신인남우상은 ‘악마가 이사왔다’ 안보현, 신인여우상은 ‘아메바 소녀들과 학교괴담: 개교기념일’ 김도연에게 각각 돌아갔다. 영화 ‘좀비딸’은 563만 관객의 선택을 받아 올해 최고 흥행작에 등극하며 최다관객상을 수상했다.
다음은 제46회 청룡영화상 수상자(작) 명단이다.
△최우수작품상=어쩔수가없다
△여우주연상=손예진(어쩔수가없다)
△남우주연상=현빈(하얼빈)
△감독상=박찬욱(어쩔수가없다)
△여우조연상=박지현(히든페이스)
△남우조연상=이성민(어쩔수가없다)
△청정원 인기스타상=박진영·현빈·손예진·임윤아
△청정원 단편영화상=김소연(로타리의 한철)
△음악상=조영욱(어쩔수가없다)
△미술상=이나겸(전,란)
△기술상=조상경(어쩔수가없다)
△편집상=남나영(하이파이브)
△촬영조명상=홍경표·박정우(하얼빈)
△각본상=김형주·윤종빈(승부)
△최다관객상=좀비딸
△신인감독상=김혜영(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신인여우상=김도연(아메바 소녀들과 학교괴담: 개교기념일)
△신인남우상=안보현(악마가 이사왔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