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 해외투자 열기 속 3분기 대외자산, 역대 최대치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우리나라의 올해 3분기 거주자의 대외금융자산이 지난 3분기 말 기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서학개미 등 국내 투자자의 해외 주식투자 열기가 계속된 결과다. 순대외자산도 외국인의 국내 투자보다 대외투자 오름세가 더 크게 늘어나면서 3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19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3분기 말 기준 우리나라 대외금융자산은 2조7976억달러로 집계됐다. 지난 2분기 말(2조6818억달러)보다 1158억달러 증가,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했다. 해외 증권투자가 증가하면서다.

대외금융자산 가운데 증권투자는 890억달러 증가한 1조2140억달러로 최대 기록을 달성했다. 해외 주식투자와 해외 채권투자가 확대된 영향이다.

직접투자 역시 2차전지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87억달러 늘어난 8135억달러로 역대 1위를 기록했다.

외국인의 국내투자를 의미하는 대외금융부채는 900억달러 증가한 1조7414억달러로 나타났다.

비거주자의 증권투자는 1조1395억달러로 885달러 증가했다. 외국인의 국내투자로 국내주가가 상승한 데 기인했다.

반면 직접투자는 3135억달러로 37억달러 감소했다. 거래요인이 소폭 증가했음에도 원화 약세 영향이 작용했다.

대외금융자산 증가폭(1158억달러)이 대외금융부채 증가폭(900억달러)을 웃돌면서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1조562억달러로 집계, 전분기 대비 258억달러 늘었다.

이는 세 분기 만에 반등, 역대 최고치였던 지난해 말(1조1020억달러) 처음 대외금융자산 1조달러대 반열에 오른 뒤 네 분기 연속 유지했다.

임인혁 한은 국외투자통계팀장은 "미국 증시 호조와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 등에 따라 해외 지분증권(주식 등)·부채성증권(채권 등) 투자가 늘어난데다 외환보유액 총액인 준비자산도 운용수익 증가 등으로 늘어 대외금융자산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주가도 올라 비거주자의 국내 증권투자도 늘었지만, 원화 약세로 달러 환산액이 감소하는 비거래 요인 등이 대외금융부채 증가폭을 제약했다"고 부연했다.


3분기 말 기준 순대외채권(대외채권-대외채무)은 3818억달러로 전분기 대비 246억달러 증가했다. 세 분기 만의 증가 전환으로 증가폭은 역대 2위다.

같은 기간 대외채권은 1조1199억달러로 전분기 대비 271억달러 증가했다. 단기 대외채권(189억달러 증가)은 한은의 준비자산(118억달러 증가)을 중심으로, 장기 대외채권(82억달러 증가)은 기타부문(증권사 등 금융기관과 비금융기업)의 부채성증권 위주로 늘었다.

대외채무는 7381억달러로 25억달러 증가하는 데 그쳤다. 채무상품직접투자 중심으로 장기외채가 증가, 차익거래유인 축소로 단기 부채성증권·차입금이 줄어들면서 단기외채 감소로 증가폭을 제한한 영향이다.

대외채권과 대외채무는 대외금융자산과 대외금융자산 등에서 지분성 항목을 제외한 확정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잔액을 의미한다.

대외채무 가운데 만기가 1년 이하인 단기외채 비중(21.9%)은 전분기 대비 0.8%포인트(p),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의 비율(38.3%)은 2.4%p 줄었다.

임 팀장은 "단기 외채가 차입금을 중심으로 감소한 반면 준비자산은 늘면서 대외지급능력, 외채건전성이 모두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서학개미 해외투자 열기 속 3분기 대외자산, 역대 최대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