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부른 내 최애 노래...'팬심'인가 '무례'인가

마이데일리
유튜브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AI 커버 영상

[마이데일리 = 오가빈 인턴기자] "이 목소리, 진짜야?"

최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지금은 들을 수 없는 가수의 목소리를 재현하거나, 내 '최애'의 음색으로 새로운 곡을 부르는 듯한 영상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브루노 마스가 K팝 걸그룹의 노래를 커버하고, 세상을 떠난 가수의 목소리로 신곡을 듣는 등 불가능했던 조합이 가능해진 것이다. 모두 인공지능(AI)이 만든 AI 커버다. 이는 팬들에겐 '새로운 감동'으로 다가오지만, 일각에서는 창작자의 진정성을 훼손하는 무례한 시도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pixabay 이미지

AI 커버는 가수의 목소리 데이터를 학습해 마치 실제로 부르고 있는 것처럼 숨소리, 음색, 심지어 미세한 음이탈까지 정교하게 묘사한다. 듣는 이들은 '진짜 같다'라고 느낄 만큼 완성도가 높다. 하지만 이런 정밀함이 오히려 논란의 불씨가 된다. 원작자의 허락 없이 목소리를 재가공하거나, 곡의 감정선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과정이 표절인지 창작인지 모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업적인 활용에 대한 논란도 뜨겁다. AI 커버를 제작해 유튜브나 SNS에 올리고 수익을 얻는 사례는 원곡 가수의 저작권이 침해될 뿐 아니라, 팬덤 문화와의 충돌도 야기할 수 있다. 팬심이 만든 콘텐츠라 하더라도, 목소리의 주인이 동의하지 않았다면 이는 명백한 저작권 침해이기 때문이다.

가수들 역시 불안감을 감추지 않는다. BTS 정국은 2023년 팬 플랫폼에서 "다양한 AI 커버를 들어봤는데 만들기 정말 쉬워 보인다. 나중에는 AI가 노래를 부를 것 같다"라며 "목소리 데이터와 발음을 받아서 사용하면 녹음을 안 해도 될 것 같다. 그럼 진정성이 없어지지 않나. 내가 목소리가 안 나온다고 하면 다른 걸 해야지"라고 말했다.

AI에 대해 언급한 뱀뱀/뱀뱀 개인 SNS

갓세븐의 뱀뱀 역시 개인 SNS에 "나는 언젠가 AI가 내 직업을 빼앗아갈까 봐 점점 두려워진다"라고 게시물을 남기며 아티스트의 존재 의미에 대한 고민을 드러냈다.

AI가 만든 노래는 결국 인간이 만든 알고리즘의 산물이다. 기술이 아무리 정교해져도, 예술의 감동은 인간의 불완전함과 감정에서 비롯된다. 지금 필요한 것은 규제가 아니라 '균형'이다. 기술의 진보와 예술의 존중이 공존할 수 있도록, 법적·윤리적 장치와 사회적 합의가 먼저 마련되어야 한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AI가 부른 내 최애 노래...'팬심'인가 '무례'인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