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폭탄' 위기의 K-철강, '수출 보증상품' 카드 꺼내든 정부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50% 관세로 위기를 겪고 있는 국내 철강업계를 위해 정부가 '철강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상품' 카드를 꺼내 들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9일 "철강 기업,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약 4000억원의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보증상품을 신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경북 포항을 찾아 포스코 인공지능(AI) 고로와 수소환원제철 개발센터 등을 점검하고, 간담회를 통해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

간담회에는 △이희근 포스코 사장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 △최삼영 동국제강 사장 △홍만기 세아제강 부사장 △최철균 넥스틸 상무 △김영학 TCC스틸 사장 △이경호 한국철강협회 상근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그는 우선 철강업계에 양해를 구했다. 김 장관은 "대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 관세 면제를 강하게 요구했지만, 관철이 어려웠던 점에 대한 업계의 이해를 구한다"며 "미국 측과 관세 완화 협의를 지속하고 관세 후속 지원대책 이행, 우회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 방어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품목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6월부터는 50%로 인상해 관세 장벽을 크게 높인 상황이다. 이런 고율 관세에 한국 철강업계도 지난 7월 대미 수출이 지난해보다 25% 넘게 급감하는 등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 실정이다.

김 장관은 "국내외 공급과잉 문제에 대해서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품목별 대응 방향을 검토해 나가겠다"며 "또 철강산업 위기로 촉발된 지역경제 어려움을 해소하며 국회에서 발의된 철강산업 특별법에 대해서도 핵심 정책 과제들이 입법화될 수 있도록 국회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힘줘 말했다.

현장 시찰에서는 "철강산업의 AI 접목을 통한 효율성과 산업안전 강화를 지원하고, 저탄소 철강재와 특수탄소강에 대한 인센티브 등 저탄소·고부가 전환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근로자 안전이 산업 경쟁력의 출발점이다"며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기업 관리 강화와 투자를 확대해 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산업부는 지난 1월 출범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TF' 등을 통해 전문가·업계와 정책 과제를 논의 중이다. TF 논의 결과와 관계 부처 협의를 종합해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관세 폭탄' 위기의 K-철강, '수출 보증상품' 카드 꺼내든 정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