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일 디지털 어스 플랫폼 기업' 이지스, 코스닥 예비심사 승인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3D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디지털 어스 플랫폼 기업 이지스가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19일 밝혔다. 상장 주관회사는 NH투자증권이다.

이지스는 2001년 설립 이후 20여 년간 3D GIS 기술 개발에 매진해온 기업으로, 자체 개발한 디지털 어스 플랫폼 'XDWorld'와 'XDCloud' 등을 통해 국내외 공공기관과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어스 플랫폼이란 현실과 동일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여 시행착오 없는 완벽한 미래를 설계하는 정보 플랫폼으로 글로벌 4개 기업만이 구현 가능하며, 디지털 어스 생태계 전주기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이지스가 유일하다.

회사가 보유한 핵심 제품군으로는 △3D GIS 엔진 'XDBuilder' △클라우드 기반 3D GIS 플랫폼 'XDCloud' △실내 공간정보 솔루션 'XDIndoorMap' △지하 공간정보 솔루션 'XDUnderMap' △도로 관리 솔루션 'XDRoadMap' 등이 있다.

특히 이지스는 미국 ESRI 등 글로벌 GIS 기업들이 주도하는 시장에서 디지털 트윈 원천기술 내재화와 플랫폼 직접 운영 등을 통해 비교 우위를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SK텔레콤, KT 등 대기업과 협력해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으며, 유럽의 데이터 생태계 프로젝트 '가이아-X(Gaia-X)', 한국형 스마트시티 해외 진출을 돕는 'K-City Network' 사업 등에 참여하며 기술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최근에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GIS에 접목한 '챗-GIS(Chat-GIS)' 기술을 선보이는 등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기술 고도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매출 또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지스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64.6%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회사의 매출액은 2022년 125억원, 2023년 214억원, 2024년 302억원으로 급증했으며, 영업이익은 2023년 30억원, 2024년 23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2022년까지 적자를 기록하다 2023년 흑자 전환 성공 후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구축했다는 평가다.

회사는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독보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내 선도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고 AI, LLM 등 기술 융합을 통한 신규 솔루션 개발 등으로 지속성장의 기반 마련에 힘쓸 계획이다.

김성호 이지스 대표이사는 "이번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통과는 20여 년간 쌓아온 이지스의 독보적인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코스닥 상장을 통해 AI·메타버스 등 미래 기술과의 융합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K-디지털 어스'의 우수성을 입증해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국내 유일 디지털 어스 플랫폼 기업' 이지스, 코스닥 예비심사 승인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