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미국 이민당국에 구금됐던 한국인 316명이 12일 무사히 귀국했다. 구금된 지 약 일주일 만이다.

앞서 미국 현지시간으로 11일 오전 11시38분께 조지아주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을 이륙한 대한항공 전세기에는 이민당국의 구금 해제 후 자진출국을 택한 한국인 316명, 외국인 14명(일본 3명, 중국 10명, 인도네시아 1명) 등 총 330명이 탑승했다. 이들이 탄 전세기는 12일 오후 3시23분께 인천공항에 활주로에 착륙했다.
정부 관계자들은 전세기에서 내린 근로자들을 탑승교 앞에서 맞이했다.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구금과 장시간 비행으로 인해 지친 모습이었다고 전해졌다. 입국장을 나오면서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거나 일부 근로자들은 전세기에서 내리자마자 가족에게 전화를 걸어 안부를 전하기도 했다.
지난 9일 애틀랜타로 급파됐던 박윤주 외교부 1차관도 같은 비행편에 탑승해 입국했다. 8일 워싱턴DC로 출국한 조현 외교부 장관도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 앤드류 베이커 백악관 국가안보부보좌관 등과 회동을 통해 구금 사태를 매듭짓고, 12일 오후 5시30분께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다.
한편, 지난 4일 미 이민당국은 조지아주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근무 중이던 한국인들을 불시 단속해 체포하고, 포크스턴 구금시설 등에 구금했다. 구금된 인원들은 추방 절차가 아닌 '자진 출국' 형식으로 귀국했으며, 이는 향후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한 한미 외교 당국의 협상 결과로 알려졌다.

당초 예상보다 귀국이 하루 늦어졌는데,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들이 숙련된 인력이므로 미국에 계속 남아 일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라며 귀국 절차를 잠시 중단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구금된 한국인들 중 일부는 유효한 비자를 소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억류됐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이에 대해 미국 이민 당국이 실적에 급급해 무리한 단속을 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관련 비자 및 이민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한미 양국은 재발 방지를 위한 실무 협의에 착수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