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전두성 기자 강미정 조국혁신당(혁신당) 대변인이 4일 당내 성 비위 사건에 대해 당의 미흡한 조치를 문제 삼으며 탈당을 선언했다. 강 대변인은 탈당 선언 과정에서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도 이번 사건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강 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탈당 기자회견을 열고 “저는 검찰개혁을 누구보다 절실하게 바랐다. 거대한 권력에 맞서며 저 하나 정의롭게 쓰이면 그것으로 족하다는 마음으로 혁신당에 입당했다”며 “그러나 그 길 위에서 마주한 것은 동지라고 믿었던 이들의 성희롱과 성추행, 괴롭힘이었다. 그리고 그것을 외면하거나 모른 척하던 시선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처음엔 저 혼자 감내하면 될 일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저보다 더 어린 사회 초년생 피해자들의 도와달라는 목소리가 들렸다”며 “혼자서 감당할 수 없었던 성추행과 직장 내 괴롭힘 앞에서 그들의 삶이 스러져가고 있었고, 저는 그들의 손을 잡기로 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그러나 당은 피해자들의 절규를 외면했다. 윤리위와 인사위는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들로 채워져 있었고, 외부 조사 기구 설치 요구는 한 달이 넘도록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그 과정에서 피해자들에게는 또 다른 가해가 쏟아졌다. ‘너 하나 때문에 10명이 힘들다’, ‘우리가 왜 네 눈치를 봐야 하냐’(는) 여의도에 막 발을 들인 청년들이 감당하기에는 너무 가혹한 말들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제 제기는 옳은 척 포장된 싸움으로 매도됐고, 사건이 접수된 지 다섯 달이 돼가는 지금도 당의 피해자 지원 대책은 그 어떤 법도 마련되지 않았다”며 “가장 먼저 이뤄져야 할 피해자 보호와 회복이 외면당하는 사이 피해자들은 당을 떠나고 있다. 이것이 제가 더는 기다릴 수 없음을, 그리고 떠날 수밖에 없음을 확신하게 된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사건으로 당을 떠나거나 제명된 사례도 언급했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당내 성추행 및 괴롭힘 사건의 피해자 중 1명은 지난달에 당을 떠났고, 해당 사건과 관련해 당의 쇄신을 외쳤던 세종시당위원장은 지난 9월 1일 제명됐다. 함께했던 운영위원 3명도 징계를 받았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강 대변인은 “피해자를 도왔던 조력자는 ‘당직자 품위 유지 위반’이라는 이름의 징계를 받고 며칠 전에 사직서를 냈다”고 말했다.
이어 “성 비위 문제를 최초 접수받고 당에 보고한 여성위원회 실무 담당 의원실 비서관은 당직자에게 폭행을 당했고 사건은 검찰에 송치돼 있다”고 했다. 강 대변인은 기자회견 중 눈물을 흘리는 모습도 보였다.
아울러 강 대변인은 조 원장이 이번 사건에 침묵했다는 취지로 말하기도 했다. 그는 기자회견 후 취재진과 만나 “8·15 (사면) 후에 당도 입장 변화가 없었고, 조 전 대표에게서도 별다른 입장을 듣지 못했다”며 “말씀하시지 않은 침묵도 제가 해석해야 할 메시지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혁신당은 즉각 반박 입장문을 냈다.
당은 “성 비위 및 괴롭힘 사건과 관련 당헌·당규에 따라 피해자 요구사항을 모두 수용한 관련 절차를 모두 마쳤다”며 “피해자 측 요청으로 외부기관이 조사를 전담해 진행했고, 당 외부인사로 구성된 인권특위의 점검도 받았다. 그럼에도 사실과 상이한 주장이 제기된 점에 대해선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또 혁신당은 강 대변인의 ‘당의 피해자 지원 대책은 그 어떤 법도 마련되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 “당은 특위 권고를 전폭적으로 수용해 후속 조치를 적극 강구했다”고 했고, ‘윤리위와 인사위는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들로 채워져 있었다’는 입장에 대해선 “윤리위원회는 외부 인사가 다수인 구조고, 이 사건은 외부인사가 책임을 맡아 진행했다”고 반박했다.
‘세종시당위원장 제명’에 대해선 “당내 민주적 정당 질서에 현저하게 혼란을 일으킨 바 있고, 해당 사유로 제명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