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SK AX가 제조업 맞춤형 ‘디지털 트윈 기반 AX 플랫폼’을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보이지 않는 배기 유틸리티 설비까지 AI로 통제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ESG 대응까지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배기 유틸리티 설비는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핵심 인프라다. 고장이 나면 공정 중단, 품질 저하, 환경 규제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다. SK AX는 이를 디지털 트윈으로 정밀하게 구현해 설비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하고, 공정 변경에 따른 리스크를 사전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했다.
IoT 센서, AI, 열화상 카메라 등을 활용해 압력·온도·진동·유해물질 농도를 실시간 연동하고, 가상 공간에서 설비 상태를 그대로 재현한다. 이를 통해 설비 제어 최적화, 에너지 낭비 절감, 공정 전반의 효율화가 가능해졌다. 실제로 사고 발생 건수 최대 5% 감소, 운영·투자비 10% 이상 절감, 설비 효율 25% 향상 등 효과가 기대된다.
이번 플랫폼은 작업자 안전과 ESG 대응에도 초점을 맞췄다. 환경 데이터 시각화, 기준 초과 사전 예측, 자동 대응 체계 등을 통해 안전성과 규제 대응력을 높였다. SK AX는 유틸리티 설비를 시작으로 제조 전 공정을 아우르는 통합 관제 체계로 확장할 계획이다.
김광수 SK AX 제조서비스부문장은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단순한 설비 복제를 넘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정을 제어하는 실행형 AX 사례”라며 “눈에 보이지 않던 설비까지 AX로 전환해 고객이 수율을 높이고 리스크를 줄이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