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트론바이오, IMPATM 플랫폼 유전자 편집 기술 '특허 2건 출원'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인트론바이오(048530)는 최근 'IMPATM' 파지 엔지니어링 기술의 대장암 관련 미국 특허 출원에 이어 파스튜렐라(Pasteurella) 박테리오파지를 대상으로 한 CRISPR-Cas9 및 리컴비네이션(Recombination) 기반 개량 기술에 대해 새로운 IMPATM 유전자 편집 특허 2건을 출원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IMPATM 유전자 편집 기술은 파스튜렐라 균에 감염하는 박테리오파지의 캡시드를 표적으로 해 모듈라 파지(Modular phage)를 제작한 다음 여기에 다수의 페이로드(Payloads)를 탑재할 수 있는 개량 기술이다. 이는 유전자 편집, 외래 단백질 표지 및 신규 캡시드 도입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 기술에 대한 원천 특허다.

인트론바이오는 인공지능(AI) 주도 분석 및 멀티오믹스(Multi-omics) 데이터를 기초로 자사의 가상 BR 은행(ip-Virtual BR Bank)의 1만1000여개 박테리오파지 데이터베이스(DB)와 자체 분리 확보한 600여종 이상의 박테리오파지 전장 유전체(WGS)를 포함한 통합 데이터베이스(IDB)를 활용했다.

이를 통해 신규한 CRISPR-Cas9 시스템과 리컴비네이션 기술에 활용 가능한 유용 유전자원을 선별해 박테리오파지 유전자 편집 기술로 구현했으며 향후 항암제 및 백신 개발의 원천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신규 출원 특허는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해 파스튜렐라 균주에 감염하는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정밀하게 조작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본래의 감염 능력은 유지하면서 표적 부위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유전자 조작이 가능한 플라스미드(Plasmid)를 개발 및 적용해 조작 효율을 극대화했다. 또 리컴비네이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전용 플라스미드도 개발해 유전자 조작 기간을 단축했다.

아울러 파스튜렐라 박테리오파지를 대상으로 두 가지 개량 기술을 활용해 유전자 조작이 가능해진 것은 이전에 보고되지 않은 세계 최초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손지수 인트론바이오 사업개발(BD) 사업부 본부장은 "이번 특허 출원된 IMPATM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박테리오파지를 항생제 대체재로 활용하는 수준을 넘어 특정 질병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펩타이드·단백질을 표지한 표적형 치료제 및 백신 개발 플랫폼으로 활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윤경원 인트론바이오 대표는 "지난 미국 특허 출원에 이어 이번 추가 특허 2건은 기존 IMPATM 플랫폼을 강화하고 기술 차별성과 적용 분야를 확대한 것"이라며 "국제 특허 출원(PCT)을 전제로 빠른 등록을 위해 우선 한국에 출원했다"고 말했다.

이어 "IMPATM 파지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에 집중해 기술 완성도를 높이고 있으며 이는 인트론바이오가 항체-약물 접합체(ADC) 신약, 항암제, 백신 등 후보물질 개발의 근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인트론바이오, IMPATM 플랫폼 유전자 편집 기술 '특허 2건 출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