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새 정부 국정 방향 맞춰 핵심 사업 구체화 착수

포인트경제

[포인트경제] 경상북도가 19일 이철우 도지사 주재로 '새 정부 국정 방향 대응 보고회'를 열고, 정부의 5개년 국정운영 계획에 맞춰 경북의 전략 사업을 구체화하고 예산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경북도가 19일  '새 정부 국정 방향 대응 보고회'를 열고 이철우 도지사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경상북도청(포인트경제)
경북도가 19일 '새 정부 국정 방향 대응 보고회'를 열고 이철우 도지사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경상북도청(포인트경제)

이번 회의에는 주요 출자·출연기관도 함께 참석해 분야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경북도는 새 정부의 5대 국정 목표와 123개 국정과제를 면밀히 분석해 중점적으로 대응할 핵심 10대 키워드를 도출했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에너지, 미래산업, 기후 위기 대응, 자치분권·균형성장, 민생경제, 농산어촌, 복지·보건의료, 인구 위기 극복, 창의적 문화국가 등이 포함됐다.

경북도는 정부의 'AI·에너지 고속도로' 정책에 맞춰 국가 AI 컴퓨팅 센터 유치와 산업 AI 혁신지원센터 조성 등을 추진해 AI 3대 강국 도약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원전 활용 청정 수소 생산 클러스터와 동해안 해저 전력망 구축을 통해 경제성장과 탄소중립을 동시에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저출생과 전쟁'을 통해 정부를 선도해 온 만큼, 인구 위기 극복과 복지·보건의료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했다. 저출생 극복 융합 돌봄 특구를 확대하고, 분절된 복지 서비스를 통합하는 경북형 통합 돌봄 모델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자치분권과 균형성장을 위한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에도 집중한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신공항 순환철도, 대구·경북 대순환철도, 남북 9축·10축 고속도로 등을 국가 도로망 계획에 반영하고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5 韓’의 국제 브랜드화를 통해 문화자원을 육성하고, 포스트 APEC 사업을 통해 경주를 국제적인 관광 거점으로 성장시키는 등 관광 활성화에도 적극 나선다.

이외에도 산불 피해 지역의 민생 회복을 위한 '산불 피해 특별법' 연내 제정, 농산어촌 활성화를 위한 농업대전환 제도 정비, 첨단 미래산업 육성 방안 등 다양한 현안이 논의됐다.

이철우 도지사는 "국정과제에 얼마나 철저히 준비했느냐에 따라 사업 진행 여부가 결정된다"고 강조하며, "AI, 에너지와 같은 미래 첨단산업과 경북이 강점을 가진 산업을 중심으로 새 국정 방향과 연계해 대한민국이 초일류 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전 공직자와 관계 기관이 한 몸처럼 움직여야 한다"고 지시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경북도, 새 정부 국정 방향 맞춰 핵심 사업 구체화 착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