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보였다.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치를 크게 웃돌면서 급등했음에도 불구하고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보합권에 머물렀다.
현지 시간으로 14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01p(-0.02%) 내린 4만4911.26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는 1.96p(0.03%) 늘어난 6468.54에 마감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47p(-0.01%) 밀린 2만1710.67에 장을 마쳤다.
이날 주식시장의 화제는 PPI지수였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7월 PPI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월대비 0.9% 급등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0.2% 상승)를 크게 웃돈 것이다. 2022년 6월(0.9%) 이후 가장 가파른 상승폭이기도 하다. 전년대비로는 3.3% 올랐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는 0.9% 올라 시장 전망치(0.2% 상승)를 상회했다. 전년대비로는 3.7% 올랐다.
예상보다 큰 폭으로 오른 PPI는 관세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재차 키웠다. 다만 이번 수치에 포트폴리오 관리 수수료의 급등과 항공료 상승 등이 상당 부분 기여했다는 점이 부각되며 증시에 미치는 영향이 축소됐다.
이번 PPI 발표 이후 9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빅컷을 단행할 것이란 기대감은 사라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준이 9월 기준금리를 25bp(1bp=0.01%포인트) 인하할 확률은 92.6%, 동결 확률은 7.4%, 50bp 인하할 확률은 0%로 집계됐다.
빅테크업체들은 애플과 테슬라를 제외하고 모두 강세를 보였다. 아마존이 2.86% 상승했고 알파벳은 0.49%, 마이크로소프트는 0.37%, 엔비디아는 0.24% 올랐다. 인텔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분 보유를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주가가 7% 넘게 뛰었다.
업종별로 보면 임의소비재와 금융, 의료건강, 통신서비스가 강세였다. 1% 이상 등락한 업종은 없었다.
인플레이션 재발 우려에 국채금리는 상승했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 국채 금리는 4.5bp 오른 4.285%를 기록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 금리는 4.3bp 상승한 3.73%로 마감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0.37% 오른 98.21pt를 가리켰다.
국제유가는 미·러 정상회담 '빈손' 가능성 우려감에 상승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9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1.28달러(2.04%) 오른 63.93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9월물 브렌트유는 전장 대비 1.22달러(1.86%) 상승한 배럴당 66.85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미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 있는 미군기지에서 열릴 예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명확한 결론 없이 빈손으로 끝날 가능성이 제기되며 원유 시장은 강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즉각 휴전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면서도 "이번 회담이 성공적이지 못할 확률은 25%"라고 말했다.
유럽증시는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84% 오른 7870.34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86% 뛴 5434.70을 기록했다.
영국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0.13% 상승한 9177.24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 대비 0.79% 늘어난 2만4377.50에 장을 마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