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체험인 줄 알았는데 매달 결제”…온라인 ‘자동결제’ 전환 피해 주의

마이데일리
/마이데일리

[마이데일리 = 방금숙 기자] 최근 온라인에서 무료 체험이나 포인트 지급 이벤트에 참여했다가 본인도 모르게 자동결제 되는 피해를 입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2022년부터 2025년 1분기까지 접수된 온라인 무료 체험 이벤트 관련 피해구제 신청이 총 151건에 달하며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연도별 신청 건수는 2022년 26건, 2023년 35건, 지난해 71건으로 매년 늘었다. 올해 1분기에는 19건이 접수됐다.

피해가 발생한 서비스는 문서·영상 편집 등 ‘데이터 관리’가 35.8%로 가장 많았고, 이어 건강관리 등 ‘생활정보’(31.1%), 외국어 학습 등 ‘디지털 콘텐츠’(30.5%) 순이었다.

피해 유형별로는 ‘정기결제 자동 전환 고지 미흡이 34.0%(56건)으로 가장 많았다.

무료 기간 내 해지 제한 또는 방해(32.1%), 이용요금 부당 청구(21.2%), 해지 시 위약금 청구 또는 해지 거부(12.7%)가 뒤를 이었다.

무료 체험 기간은 대부분 ‘7일 이내’로 짧았고, 이 중 ‘7일’인 경우가 절반 이상(50.8%)을 차지했다. 피해자 중 절반 이상은 체험 종료 후 정기결제로 전환된 사실을 뒤늦게 인지한 경우가 많았다.

온라인 무료 체험 이벤트 관련 피해유형별 현황. /한국소비자원

피해 금액은 ‘10만원 미만’이 72.6%로 대부분이었지만, ‘10만원 이상~30만원 미만’도 18.7%에 달했다.

피해구제 신청자 중 전액 환급을 받은 사례는 41.7%(63건)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부분 환급(27.2%) 또는 환급 거부(31.1%)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유료 전환 시 동의를 거치는 등의 고지 절차가 미흡한 사업자에 대해 자발적 개선을 권고했고 위법사항이 발견될 경우 이를 관계기관에 통보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무료 체험이나 포인트 지급 이벤트에 현혹되지 말고 무료 체험 기간을 반드시 확인하고, 결제 수단을 미리 등록하도록 요구하는 경우 해지 방법과 고객센터 정보를 미리 확인해둘 것”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휴대폰 소액결제 내역이 있는 경우 구매하지 않은 정기구독 상품이 있는지 등 휴대폰에 등록·저장된 결제수단의 청구서를 꼼꼼히 확인하고 무료 체험 기간 종료 전 해지 알람도 설정해 두면 좋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무료 체험인 줄 알았는데 매달 결제”…온라인 ‘자동결제’ 전환 피해 주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