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대 AI 전쟁 시작… ‘네이버·SKT·NC·LG·업스테이지’ 5개팀 선정

마이데일리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뉴시스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정부가 대한민국 대표 초거대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을 이끌 ‘국가대표 AI’ 5개팀을 최종 선정했다. 네이버클라우드,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 업스테이지가 막대한 국비 지원을 받아 독자 AI 생태계를 본격 구축하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발표 평가를 마치고 이들 5개 팀을 선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글로벌 AI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한국형 초거대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한다.

총 15개 컨소시엄 중 서면 평가를 통과한 10개 팀을 대상으로 기술력·개발 전략·사회 파급 효과 등을 기준으로 발표 심사를 진행했고, 정예 5개 팀이 최종 선정됐다. 이들에겐 1576억원 규모 GPU 컴퓨팅 자원과 정부 기관 데이터 등이 단계적으로 제공된다.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은 네이버·KAIST·서울대 등과 함께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영상 등 이종 데이터를 통합하는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한다. 전 국민 체험형 AI 서비스와 개방형 AI 마켓플레이스를 함께 추진한다.

SK텔레콤 컨소시엄은 크래프톤, 서울대 등과 함께 트랜스포머를 넘어선 ‘포스트 트랜스포머 AI’를 표방한다. B2C 에이전트 서비스부터 제조·자동차·게임 분야 B2B 확산까지 전방위 전략을 내세웠다.

NC AI 컨소시엄은 200B(2000억 파라미터) 규모의 멀티모달 모델과 산업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한다. 공공 서비스 연계와 ‘도메인 옵스 플랫폼’을 통해 정부·산업 양축을 겨냥한다.

LG AI연구원 컨소시엄은 LG CNS, 슈퍼브AI 등과 함께 ‘K-엑사원’이라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AI를 내세운다. 범용성과 전문성을 아우르는 고성능 모델로 산업 현장의 AI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업스테이지 컨소시엄은 ‘솔라 WBL(월드 베스트 거대언어모델)’을 목표로 한다. 3년간 대국민 AI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1000만명 확보를 겨냥하며, 유일하게 AI 인재 유치 정부 매칭 지원도 신청했다.

정부는 이달 중 사업 협약을 체결하고, 연말까지 개발 모델 기반으로 1차 단계 평가를 실시해 5개팀 중 1곳을 탈락시킬 예정이다. 이후 반기별로 1팀씩 줄여 2027년 최종 2개팀을 ‘국가대표 AI’로 확정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사업은 모두의 AI로 나아가기 위한 출발점”이라며 “정부가 기업의 기술 도전과 주권형 AI 생태계 구축을 전폭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국대 AI 전쟁 시작… ‘네이버·SKT·NC·LG·업스테이지’ 5개팀 선정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