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포스코 이어 KT도 터졌다… 새노조 “5번째 직원 사망, 이재명 정부 나서야”

마이데일리
김영섭 KT 대표이사 /KTKT 광화문 사옥. /KT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KT에서 또다시 직원 사망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구조조정 이후 확인된 직원 사망은 이번이 다섯 번째다. 노조는 이를 "사회적 타살"로 규정하며 정부의 특별근로감독을 촉구했다.

KT새노조는 1일 성명을 내고 “토털영업TF 소속 직원이 7월 31일 심장 이상 증세로 병원에 이송됐지만 끝내 숨졌다”며 “이로써 2024년 대규모 구조조정 이후 숨진 직원은 총 5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명예퇴직한 직원이 심장마비로 돌연사했고, 올해 1월과 5월에는 토털영업TF에 배치된 40대 직원 2명이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6월에는 자회사로 전출된 직원이 사망했고, 7월에는 토털영업TF 소속 직원이 사내에서 심정지를 일으켜 끝내 숨졌다.

이번에 사망한 직원이 소속된 토털영업TF는 지난해 10월 KT가 진행한 구조조정 당시, 희망퇴직을 거부하고 잔류를 선택한 2500여명의 기술직 인력이 강제로 배치된 조직이다. 오랜 기간 기술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들이 갑작스레 영업 조직에 배치되며, 극심한 업무 스트레스와 차별, 실적 압박에 노출됐다는 것이 노조의 주장이다.

정신건강 실태도 우려스럽다. 정책연구소 ‘이음’이 지난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KT 영업직군 노동자 30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4.5%는 고용 불안을, 62.7%는 우울증을, 88.1%는 불안장애 증상을 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2%는 업무가 적성이나 체질에 맞지 않는다고 답했고, 94.4%는 고용 불안을 여전히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노조는 토털영업TF 인력들이 백령도, 태백 등 도서·산간지역 발령, 타직무 전환 불가, PC오프제 감시 악용, 실적 미달자 공개 모욕 등 다양한 형태의 직장 내 괴롭힘에 시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일부 임원 발언은 직원들의 자존감을 훼손하는 방식으로 받아들여졌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KT새노조는 정부와 사측에 세 가지 대책을 요구했다. 우선 고용노동부가 KT를 상대로 특별근로감독을 즉시 시행하고, 직장 내 괴롭힘과 강압적 구조조정 실태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KT는 토털영업TF 조직을 해체하고, 차별적 인사 정책을 철회해야 하며, 직원들의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실질적 지원과 재발 방지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새노조 관계자는 “김영섭 사장의 책임 있는 사퇴와 함께 정부 차원의 강력한 개입이 필요하다”며 “반복되는 사망이 산업재해로 인정될 경우,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SPC·포스코 이어 KT도 터졌다… 새노조 “5번째 직원 사망, 이재명 정부 나서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