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위크 2025@서울, 예술·문화 서울에서 만나다

마이데일리
홍콩발레단 ‘로미오+줄리엣’ /홍콩위크 20205@서울

[마이데일리 = 이지혜 기자] ‘홍콩위크 2025@서울’이 오는 9월26일 개막한다. 홍콩 문화예술을 세계에 알리고 해외 도시와의 문화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예술축제다.

30일 홍콩특별행정구 정부 여가문화서비스부에 따르면 사전 오프닝 프로그램 <우관중: 흑과 백 사이>를 시작으로 ‘홍콩위크 2025@서울’이 10월까지 이어진다. 무용·음악·영화·만화·시각예술·패션 등 총 14개 프로그램을 통해 홍콩의 예술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국내 관객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먼저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열리는 <우관중 예술후원 해외전시 시리즈, 우관중 : 흑과 백 사이 >는 중국 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우관중(Wu Guanzhong)의 한국 첫 단독 전시다. 홍콩예술박물관(HKMoA)이 소장한 수묵화와 유화 작품 17점을 중심으로, AI 기반 미디어 설치작까지 함께 소개된다.

<두 마리 제비>, <강남회상> 등 동양의 수묵화 기법에 서양의 구성미를 접목한 대표작을 통해, 20세기 중국 현대미술의 거장을 동시대적 시선으로 재조명한다. 단순한 회고전을 넘어 회화와 미디어를 아우르는 융복합 전시로 기획된 이번 전시는, 국내 최초 단독전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다.

우관중 수묵화 전시회. /홍콩위크 20205@서울

홍콩위크 공식 개막작으로는 홍콩발레단의 <로미오 + 줄리엣>을 선보인다. 9월 26·27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된다. 셰익스피어 고전을 1960년대 홍콩 사회를 배경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쿵푸와 클래식 발레, 프로코피예프 음악과 영화적 감수성을 담았다.

안무는 워싱턴발레단 출신 예술감독 셉팀 웨버가 맡았으며, 홍콩발레단 창단 이래 첫 한국 내한 공연이다.

음악 분야에서는 홍콩 차이니즈 오케스트라가 10월 11일 롯데콘서트홀에서 공연을 갖는다. 국립창극단 소속 소리꾼 김수인, 오르가니스트 박준호, 어린이합창단 위자드콰이어 등이 함께해 한국과 홍콩 전통음악의 협업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홍콩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10월 19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무대에 오른다. 상주 지휘자 리오 쿠오크만의 지휘 아래, 피아니스트 선우예권이 협연자로 참여해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진은숙의 현대 작품 등을 연주한다.

홍콩무용단(HKDC) 대형 창작무용극 <24절기>는 10월 18·19일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공연된다. 24절기를 주제로, 자연의 순환과 인간의 리듬을 현대무용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2024년 홍콩댄스어워즈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조명·영상·향기 등이 어우러진 몰입형 무대 예술로 구성된다.

또한, 실험적 현대무용단체 라보라 테리 아츠는 10월 17·19일(일) 아르코예술극장에서 작품 <파지옥> 한국 편을 선보인다. 감각적 오브제와 무대 언어를 통해 ‘존재와 시간의 흔적’을 탐색하는 이 작품은 서울과 홍콩의 동시대 감성을 잇는 예술적 실험으로 주목받고 있다.

홍콩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lt;리오 쿠오크만, 선우예권 그리고 홍콩 필하모닉&gt; /홍콩위크 20205@서울

공연 외에도 다양한 문화 콘텐츠 행사가 서울 곳곳에서 펼쳐진다. 홍콩 고전 영화 상영 프로그램, 홍콩 영화의 새로운 물결 <메이킹 웨이브>, 스타필드 하남에서 열리는 <홍콩 만화 문화전>, 성수동에서 열리는 <서울·홍콩 패션쇼 × 패션 전시회> 등 서울 시민이 일상에서 예술을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

10월 11일 난지한강공원에서 열리는 ‘꿈의 정원: 콘서트와 영화’는 K-팝과 홍콩 팝 아티스트가 함께하는 야외 콘서트와 영화 상영이 어우러진 대규모 오픈 이벤트다. 추석 연휴와 맞물려 무료로 진행돼 축제의 열기를 절정으로 끌어올릴 전망이다.

홍콩위크 관계자는 “해외 개최는 2023년 방콕에 이어 올해 서울이 두 번째다”며 “단순한 공연 나열을 넘어 홍콩의 문화적 다양성과 예술성이 서울에 깊이 있게 소개돼 양 도시 간 예술 교류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길 기대한다”고 소개했다.

/홍콩위크 20205@서울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홍콩위크 2025@서울, 예술·문화 서울에서 만나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