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윤진웅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힘을 보태기 위해 미국 출국길에 올랐다. 삼성전자가 테슬라로부터 역대 최대 규모 수주를 성공하면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의 활로를 만든 가운데, 정부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관세 압박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지 관심이 모인다.
이재용 회장은 29일 오후 3시 50분께 김포공항에 도착한 후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했다. 이는 지난 17일 대법원 무죄 판결 이후 12일 만에 확인된 첫 외부 일정이다.
이 회장은 미국 상호관세 발효를 불과 사흘 앞두고 우리 측 협상 카드로서 미국 내 반도체 투자 확대 및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 기술 협력을 제안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미(美)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파운드리 공장을 운영 중인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현지 반도체 생산 거점을 위해 370억달러(약 54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내년 가동 개시를 목표로 텍사스주 테일러에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다.
특히 전날 테슬라와 22조8000억원 규모로 역대 최대 규모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맺고 내년부터 테일러 공장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칩 AI6를 생산하기로 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계약이 미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부흥 정책과 투자 유치 전략과 맞아떨어지면서 한·미 협상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의 수주 계약이 단순 상업적인 계약을 넘어 미국 정부의 반도체 정책과 투자 유치 전략, 대(對)중국 기술 독립 등의 기조와 맞물려 있다는 평가다.
한편 미국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반도체 관세를 다음 달 발표할 방침이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