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전북특별자치도가 상반기 산업분야 공모사업으로 1668억원(20건)의 사업비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이번 정부추경에 미래 모빌리티 제조공정 피지컬AI 개발·실증을 위한 '피지컬AI 핵심기술 실증(PoC)' 사업 국비 229억원을 확보한 전북도는 향후 협업지능 SW플랫폼 개발, 스타트업 캠퍼스 조성 등 전주·완주 중심의 피지컬AI 산업 생태계를 그려갈 기반을 마련했다.
친환경 자동차·탄소 융복합 분야의 규제자유특구에 이어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가 새롭게 지정되며 일반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원료 확대 및 공유공장 안전성 실증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시장진입과 성장을 촉진할 예정이다.
남은 하반기에는 첨단전략산업의 테스트베드 중점 아젠다의 국정과제 반영과 함께 수소 및 이차전지 분야 예타 대응, 4600억원 규모의 산업분야 국가예산 확보 등을 위해 전북도만의 강점분야를 토대로 분야별 추진전략을 이행할 계획이다.
특히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고 초기 성과창출이 가능한 새만금과 송전선로 주민 수용성 확보 차원의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RE100 산단 조성에 적극 대응할 예정이다.
또 집적화단지로 지정받은 서남권 해상풍력 확산단지1(1.0GW)의 사업시행자 공모와 함께 두 번째 확산단지(1GW) 집적화단지 추가 지정을 위해서도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수소특화 국가산단과 이차전지 특화단지 선도기술 고도화(R&D)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에 대응하여 대규모 인프라와 R&D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재생의료 저·중위험의 지역 내 치료 심의·승인 허용과 상업용 임상시험 결과의 재생의료 치료 신청 요건 등 첨단재생의료의 안전성 검증과 제도 유연화를 위한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추진한다.
전북특별자치도 신원식 미래첨단산업국장은 "새만금은 신산업 육성의 최적지로써 새만금과 연계해 전북특별자치도가 새정부 국정철학에 발맞춰 첨단전략산업 육성의 테스트베드를 위해 정부의 행정 절차에 적기 대응하겠다"며 "주력산업 전환과 신산업 생태계 형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