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한국이 올해 의장국을 맡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릴 예정인 가운데, 북한 초청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한반도 긴장 완화를 목표로 이재명 정부가 남북 관계 개선에 골몰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APEC 정상회의를 기회로 여기는 분위기가 새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전날(15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20개 APEC 회원 정상들에게 금년도 APEC 정상회의가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대한민국 경주에서 개최될 예정임을 알리며 정상회의에 회원국을 초청하는 내용의 서한을 우리 시간으로 어제(14일) 발송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지난 2005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게 됐다. 지난 1989년 출범한 APEC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경제 협력체로 한국을 포함해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캐나다, 베트남, 호주 등 21개 회원국이 참여하고 있다. 강 대변인은 “APEC 관련해 20개 회원국에게 서한을 보냈다”며 “확실히 참여 의사를 밝힌 국가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국가들도 서로 논의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중국 정상의 참석 여부는 이번 APEC 정상회의 주된 관심사다. 이와 함께 북한의 APEC 초청 가능성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이후 줄곧 남북 관계 개선에 힘을 실어 온 상황에서 APEC 정상회의를 남북 화해 무드 조성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이유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 1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APEC이 한반도 평화의 테이블이 된다면 얼마나 경사스러운 일인가”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북한은 APEC 회원국은 아니지만, 비회원국으로 초청할 수는 있다. 실제로 강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UAE처럼 회원국가는 아님에도 불구하고 초청을 했고 긍정적 의사를 밝힌 국가도 있다”고 언급했다. 일단 이번 초청 서한 대상에 북한은 포함돼 있지 않았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다만 강 대변인은 ‘북한 초청 가능성’과 관련해 “외교·통일 라인에서 별도로 검토해 봐야 할 사안”이라고 언급했다.
Copyright ⓒ 시사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