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이보라 기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은 중소기업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 표준화보다는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업종별로 이니셔티브를 선택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9일 심준규 더솔루션컴퍼니비 대표가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린 ‘2025 마이데일리 비즈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새로 출범한 이재명 정부가 ESG 친화 정책을 내세우면서 ESG 경영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 ‘ESG 기본법’이 발의되면 관련 법안이 2026년 이후 단계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내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에 대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가 의무화되고 2029년에는 법정 공시가 시작된다.
심준규 대표는 “상장사 공시가 시작되면 공급망에 엮여 있는 중소기업도 공시에 해당하는 내용을 제출해야 한다”며 “중소기업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ESG 우수기업에 대해 투자와 소비 진작이 이뤄질 것”이라며 “ESG 우수기업 판단 기준에 따라 기업들이 준비해야 할 역량이 달라진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기준·프레임워크·평가를 제시하는 ‘이니셔티브’가 등장했고 기업이 발간하는 지속경영보고서를 검증하는 시장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중소기업 실정에 맞춰 ESG 공시를 시작할 수 있도록 공시 문턱을 낮추는 유인책도 마련되고 있다.
심 대표는 “중소기업이 기업 특성에 맞게 선택과 집중을 하는 게 핵심”이라며 “가능한 범주 내에서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이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ESG 경영으로 △친환경 에너지·활동 △기존 활동 재해석 △경영 방향성 등 3가지를 제시했다.
과거에는 정부가 ESG 경영에서 탄소 중립을 중시했으나 최근에는 친환경 에너지로 방향을 바꿨다.
심준규 대표는 “탄소배출 측정은 전문 인력과 시스템이 필요해 중소기업에는 현실적 한계를 지녔다”며 “이제는 친환경 에너지를 사업장에 넣고 친환경 활동을 보여주는 게 핵심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정부 ESG 정책에 맞는 기존 활동을 찾는 것도 현실적인 방안이다.
심 대표는 “직원들의 여성 비율, 연차, 교육비 지원뿐 아니라 환경 준수나 임직원 교육도 맞춰서 넣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새롭게 부상하는 4.5일제도나 정년 연장에 맞춰서도 노력하고 있는 부분을 어필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오너 중심 기업은 지배구조 부분에 대해 난색을 표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이사회 구성이나 지분율보다 어떻게 경영하는지를 보여주고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게 핵심”이라며 “지배구조 면에서도 소유 구조만이 아닌 경영 방향성의 문제로 봐야 한다”고 제시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