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이재명 대통령은 7일 김민석 국무총리를 만나 "국정 집행을 총리가 책임지고 잘 챙겨달라"며 "특히 안전, 질서, 민생 등의 분야에 더 유념해 달라. 앞으로 추경으로 진행될 민생지원금 집행에 있어 부작용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주례회동에서 이 대통령은 안전과 관련해 "사망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감소될 수 있도록 특별히 관심 갖고 더 챙겨달라"며 "예를 들어 산업재해, 인재라고 불릴 수 있는 자연재해, 교통사고 사망사고 등을 줄일 수 있도록 특별히 힘써 달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 총리는 총리의 업무조정과 관련해 △대통령이 제시한 국정방향 후속 점검 △신규 및 장기의제 발굴 △사회적 갈등의제 해결 △행정부 및 국정상황 점검 등 기타 대통령의 지시·위임 사항에 대해 국무총리의 주 업무로 조정해 집행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개별 사안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이 대통령은 최근 국내 인재들이 빠져나가고 있다는 보도와 관련해 "AI·바이오 분야의 최고급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대택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또 최근 제기되고 있는 갈등 이슈인 의대생 및 전공의 복귀와 관련해 김 총리는 "관련 당사자들을 조만간 만난다"고 보고했고, 이 대통령은 "적극적으로 이 문제 해결에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김 총리는 에이펙 준비위원장으로 관련 사항을 간력해 보고했고, 이 대통령은 "현재 진행 상황이 여러 가지 차질이 있을 수 있는 만큼 현장까지 방문하는 등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했다.
끝으로 이 대통령은 광복 80주년과 관련해 "지난해 여러 가지, 광복회 등 아픔이 있었던 만큼 올해는 이분들의 상처가 없도록 잘 보살피고, 80주년을 맞이한 만큼 가능한 성대하게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사회적 갈등과 관련해 우 수석은 "지난 정권에서 해묵은 과제 및 상존해 왔던 갈등 의제에 대해 총리가 1차로 점검해 먼저 해결하도록 노력하고, 그 과정에서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것으로 이해해 달라"며 "어떤 사회적 갈등이든 최종 결정은 대통령이 하겠지만 전담해서 사전에 먼저 노력해 보기로 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우 수석은 업무분장에 대해 "국무회의 진행은 지금까지 대통령이 주재하고 총리가 사회를 보는 것으로 분장돼 있었고, 앞으로도 이렇게 갈 것"이라며 "대통령의 해외 순방 및 부재시 총리가 부득이하게 할 수 있지만 주재는 대통령이 하고 사회는 총리가 보는 역할 분담이 지속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