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부산시 vs 민주당…가덕도 신공항 공사기간 연장 논란 둘러싸고 정면충돌”입니다. 부산 가덕도 신공항 공사기간 연장 논란을 둘러싸고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지역 시민단체와 부산시가 정면충돌했습니다. 양측의 공방을 정리했습니다. <편집자 주> |
![]() |
▲민주당 부산시당 시정평가대안특별위원회는 26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가덕도 신공항 공사 기간 연장 논란과 관련하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최인호 특위 위원장 페이스북 캡처 |
27일 부산시의회 등에 따르면 민주당 부산시당 시정평가대안특별위원회는 26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덕신공항 건설 기본계획을 108개월(9년)으로 제안한 '현대건설과 부산시 간의 유착 게이트 의혹'을 제기했다.
특위는 이날 “박형준 부산시장이 현대건설 임원 출신을 가덕도 신공항 특별보좌관으로 임명하고도, 공사 기간이 84개월에서 108개월로 연장된 사실을 사전에 몰랐다는 해명은 시민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인호 특위 위원장은 “사업자와의 소통이 특보의 핵심 역할인데도 이를 몰랐다는 것은 무능이거나 방조이며, 두 경우 모두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질타했다. 이어 “국토교통부도 현대건설의 공기 연장 계획을 사전 승인 없이 묵인했고, 시의 역할 역시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위는 “현대건설 출신을 신공항 특별보좌관에 임명한 것은 부산시와 현대건설간의 유착 관계로 볼 수 밖에 없다”며 “이 사건은 '부산시-현대건설 유착 게이트 의혹'이라고 명명하고 검찰 고발과 국민권익위원회 신고도 검토하는 등 진상조사를 다양하게 펼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가덕도신공항 국민행동본부 등 7개 부산 시민단체도 이날 같은 곳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건설을 규탄했다.
시민단체는 “현대건설이 가덕도신공항 개항과 관련해 2년의 공기 연장과 함께 공사비 증액을 요청한 것은 도저히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라며 “이는 국가 공공사업의 신뢰를 훼손하고 국민의 세금을 볼모로 한 기만적 시도”라고 비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가덕도신공항국민행동본부를 비롯해 부산항발전협의회, 부산시민광장,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신항만활성화추진협의회, 부산시민단체협의회,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 등 7개 단체가 공동 참여했다.
이들은 “가덕도 신공항은 단지 지역 SOC 사업이 아니라 국가 균형발전의 핵심 인프라이며, 동남권 800만 시민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라고 강조했다.
단체들은 “2021년 여야 합의로 가덕도신공항 특별법이 통과됐고, 2029년 개항은 명확한 국가계획이었다”며 “하지만 현대건설은 낙찰 이후 2년의 공기 연장을 요구하며 사실상 개항을 늦추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시도는 단순한 경영상 판단을 넘어, 대선을 앞둔 정치적 혼란기를 틈탄 악의적 전략”이라며 “국토교통부와 부산시가 이를 방관하고 있다면 그 책임에서도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고 경고했다.
단체들은 “현대건설을 배제하고 5월 말까지 기존계획 조건 변경없는 재입찰 공고를 즉시 시행하라”며 “국책사업에 있어 수의계약이라는 국가법을 위반한 현대건설을 규탄하며, 향후 대한민국 전 국책사업에서 현대건설의 사업 참여 아웃을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6월 3일 대선 때까지만 버티면 된다는 국토부의 속내와 국토부에 모든 책임을 전가하며 그 뒤에 숨은 부산시, 가덕도신공항에 대해 원론적인 워딩을 하며 표 계산에만 집중하는 대선후보들에게 일침을 가한다”라며 “가덕도 신공항을 지키기 위해 어떤 집단과 권력 앞에서도 당하지 않기로 결심했다”고 결의를 다졌다.
7개 단체는 28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계동에 위치한 현대건설 본사 앞에서 항의 집회를 열겠다고 예고했다.
이들은 “부산의 절박한 외침이 외면당하고 있다면, 이제는 서울 본사를 직접 찾아가 책임을 묻겠다”며 “공사비 증액과 공기 연장을 노린 기만적 행위를 시민의 힘으로 바로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