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20년간 한국 디벨로퍼 산업을 이끌어온 한국부동산개발협회가 글로벌 디벨로퍼들과 함께 미래 비전과 혁신 전략을 발표하며, 한국 도시개발의 다음 단계로 나아갈 출발선을 내딛었다.
20일 한국부동산개발협회(KODA)가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창립 20주년 기념행사 'A.N.D 20'을 열고 디벨로퍼 산업의 다음 20년을 향한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국내외 개발업계, 학계, 공공 부문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산업의 역할과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로 꾸려졌다.
행사 오전에는 미국 쿠슈너 컴퍼니, 일본 모리빌딩, 네덜란드 엣지(EDGE), 한국 MDM그룹이 참여한 글로벌 컨퍼런스가 이어졌다. 연사들은 각국의 도시 개발 전략과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제 사례를 발표했다.
문주현 MDM그룹 회장은 "고령화, 1인 가구 확대, 수도권 집중, 지방 소멸 등 한국 도시가 직면한 구조적 변화를 짚으며 기존 방식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이 어렵다"고 진단했다. 이어 "주거·업무·상업·문화 기능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컴팩트 시티'를 핵심 해법으로 제시하며, 공공과 민간의 긴밀한 협력이 도시 전환의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오후 본 행사에서 협회는 향후 산업이 지향해야 할 '디벨로퍼 미래비전'을 공개했다. 비전은 공공성과 투명성 강화, R&D·데이터 기반 혁신, 개발금융 안정성 제고, ESG 기반 도시개발,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등 5대 축으로 구성됐다.
협회는 이번 비전이 선언을 넘어 업계 전반이 공유해야 할 실행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또 태극의 형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로운 CI도 처음 공개했다. 새 로고는 도시와 자연, 사람과 건축의 순환과 공존을 상징하며 협회의 미래 전략을 시각화했다.
특히 이날 한국부동산개발산업연구원(KREDII)도 공식 출범했다. 기존 정책연구실을 독립 연구기관으로 확대한 KREDII는 민관협력 개발모델 연구, 개발금융 분석, 데이터 기반 시장 모니터링, 국제 연구 협력 등 실질적인 정책 연구 기능을 맡게 된다. 연구원장에는 김승배 회장이, 이사장에는 문주현 회장이 선임됐다.
20주년 기념행사는 시상식 'KODA Developer Awards'와 함께 마무리됐다. KODA는 지난 20년간 제도 정착과 산업 신뢰 회복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앞으로도 데이터 기반 정책 제언, 투명한 산업환경 조성, 차세대 인재 양성을 통해 한국 개발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 준비는 지난 4월 발족한 20주년 기념사업단이 총괄했다. 사업단은 미국·일본·네덜란드 개발사들과의 협의를 거쳐 글로벌 디벨로퍼 초청을 성사시키는 등 반년간의 준비 끝에 이번 A.N.D 20을 완성했다.
김한모 사업단장은 "행사 준비 과정 자체가 업계의 역량을 다시 확인하는 시간이었다"며 "이번 20주년은 한국 디벨로퍼 산업이 새로운 20년을 향해 나아가는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