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중국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처리수) 해양 방류 개시와 관련하여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일본 정부에 공식적으로 통보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19일 보도했다. 이는 중국의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가 장기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일본 어업계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교도통신에 따르면, 중국 해관총서(세관)는 이미 지난 8월 24일 일본이 오염수 방류를 개시하자마자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중단하는 조치를 발표하고 시행 중이다. 이번 보도는 이러한 중단 조치가 단순한 임시 조치가 아닌 공식적인 정책적 결정임을 일본 측에 전달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중국은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해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로 규정하며 강력하게 비판해 왔다.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를 '잠정적인 조치'가 아닌 '영구적인 조치'로 인식할 가능성을 높이는 공식적인 통보로 해석되고 있다.
이번 중국의 공식 통보는 일본 수산업에 직격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의 최대 수출 시장이었으며, 특히 홋카이도 가리비 등 고급 어종의 주요 소비처였다. 일본 농림수산성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농림수산물 및 식품 수출액 중 수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컸으며, 그중 중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일본 정부는 과학적 안전성을 강조하며 중국 측에 수입 중단 조치를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양국 간의 외교적 갈등은 심화될 전망이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국제기구를 통한 과학적 검증을 강조하며 중국의 조치를 '비과학적'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교도통신은 중국 측이 후쿠시마 제1원전의 처리수에 관해 모니터링(감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이번 공식 통보로 일본은 수출 시장 다변화 및 자국 내 수산물 소비 촉진 대책 마련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외교적 대응 방안도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