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셀트리온은 19일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국내외 투자와 제품 개발 속도를 가속화하는 성장 청사진을 발표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직접 발표자로 나서 미국 공장 증설과 국내 신규 생산시설 투자 계획, 2038년까지 바이오시밀러 41종 상업화 목표, 비만 치료제 등 신약 개발 역량 강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인수한 美 공장 증설, 국내 생산시설도 확보
셀트리온은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위치한 일라이 릴리의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인수를 연내 완료하고 즉시 증설에 착수한다. 인수한 공장으로 미국 시장에 공급되는 의약품에 대한 관세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해소한다.
현재 공장 캐파만으로도 미국 내 판매 제품 생산이 가능하지만, 신규 제품 출시와 위탁생산(CMO) 물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3년에 걸쳐 11000L 배양기 3기를 추가하는 1차 증설을 진행한다. 이후 수요 상황에 맞춰 2차로 배양기 3기를 더해 총 66000L 증설을 5년에 걸쳐 완료할 계획이다.
공장 인수 및 운영 비용 7000억원과 증설 비용 7000억원을 합쳐 총 1조4000억원이 미국 생산시설 확보와 생산능력 강화에 투입된다. 증설 예비 설계는 이미 시작됐으며 연말까지 설계와 허가를 마치고 착공에 들어간다.
국내에서도 생산시설 증설에 속도를 낸다. 송도 캠퍼스 내 액상 완제의약품(DP) 공장 외에 신규 원료의약품(DS) 공장(인천 송도), 신규 완제의약품(DP) 공장(충남 예산), 신규 사전 충전형 주사기(PFS) 생산공장(충북 오창)을 건설한다. 국내 신규 생산시설 증설에만 약 4조원이 투입돼 국내외 투자 균형을 맞추고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한다. 미국 공장은 현지 수요에 맞춘 공급을, 국내 공장은 기타 지역 수출 물량 생산을 담당한다.
바이오시밀러 상업화, 신약·비만 치료제 개발 속도 ↑
셀트리온은 2038년까지 총 41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상업화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현재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허가받은 11개 제품을 포함해 2030년까지 7개의 신규 바이오시밀러를 추가 출시해 총 18개 제품을 상업화한다. 주요 목표 제품은 키트루다(흑색종), 코센틱스(건선), 오크레부스(다발성경화증), 다잘렉스(다발성골수종) 등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다. 2038년까지 연평균 2~3개 제품을 출시해 41개 라인업을 확보한다. 자가면역질환과 항암제 분야를 강화하는 동시에 아토피 피부염, 혈우병, 천식, 발작, 면역항암 등 신규 치료 영역도 확대한다. 기존 출시 제품은 신규 제형 변경 등으로 차별화를 꾀해 경쟁력을 유지한다.
신약 개발 분야도 강화한다. 2025년 임상에 돌입하는 4종을 포함해 총 10종 이상의 항체-약물접합체(ADC) 및 다중항체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며, 2027년에는 임상 단계 10종 이상을 포함해 총 20종으로 확대한다.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도입한 후보물질 5종에는 FcRn(태아 Fc 수용체) 타깃 단백질, 삼중항체 플랫폼, ADC 플랫폼, 공간전사체 플랫폼 등이 포함된다.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하나의 물질에서 수십, 수백 가지 신약 물질로 확장한다. 라이선스-인 방식을 통해 다양성과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신약 개발의 퀀텀 점프를 앞당긴다.
비만 치료제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 기존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기반 2중~3중 작용제를 넘어 4중 타깃이 동시에 작용하는 모델을 개발 중이다. 4중 작용제 방식의 비만 치료제 'CT-G32'는 개인 편차에 따른 치료 효과와 근손실 부작용을 개선하고, 지방분해 촉진과 체중 감소율을 최대 25%까지 높인다. 현재 글로벌 경쟁 제품 대비 효능이 우수한 후보물질을 확보해 선도물질에 대해 질환모델 동물 효능 평가를 진행 중이며, 2026년에는 물성·안정성, 유전·세포독성 검증을 거쳐 전임상에 돌입한다.
올 4분기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기존 주력·신규 고수익 제품 성장
셀트리온은 올 4분기부터 실적 턴어라운드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생산시설 인수,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확대, 신약 개발 역량 강화가 실적 성장에 기여한다. 3분기 대비 매출액은 최소 30% 이상 증가하고, 매출원가율은 30%대 중반, 영업이익률은 40% 내외로 개선이 예상된다. 합병에 따른 일시적 비용 부담이 3분기부터 종료됐고, 기존 주력 제품의 안정적 판매와 신규 고수익 제품의 가파른 성장세가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특히 3분기에 미국과 유럽에서 각각 출시된 ‘스토보클로-오센벨트’(성분명 데노수맙)와 ‘옴리클로’(성분명 오말리주맙)가 초반부터 호평을 받으며 처방이 급증하고 있다. 연말에는 ‘아이덴젤트’(성분명 애플리버셉트)와 ‘스토보클로-오센벨트’가 유럽 시장에 추가 출시돼 매출 확대에 기여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2038년까지 41개 바이오시밀러 상업화를 목표로 현재 판매 중인 11개 제품을 제외하고 연평균 2~3개씩 13년간 총 30개의 고수익 바이오시밀러를 꾸준히 추가할 계획이다. 이는 안정적인 신약 개발과 실적 턴어라운드 전략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유럽과 미국 등 글로벌 주요 제약 시장에서 고수익 신규 제품이 호평받으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올 4분기를 기점으로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실적 성장이 매분기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