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구금·전기차 둔화' 현대차 美 리스크 속 돌파구는?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자동차 관세가 현행 25%에서 15%로 떨어지길 희망한다. 양국 정부가 조속히 합의해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계획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005380) 사장이 미국 뉴욕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관세 인하의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단순한 관세율 문제가 아니라 현대차를 비롯한 한국 기업 전체의 대미 투자 구조와 직결된 사안이기 때문이다. 또 현대차는 이날 연결 매출 성장률 목표를 기존 3~4%에서 5~6%로 상향했지만, 영업이익률 목표는 7~8%에서 6~7%로 낮췄다. 관세 부담을 고려한 현실적 조정이다. 

호세 무뇨스 사장은 "우리가 제공한 가이던스는 25% 관세율을 전제로 했다"며 "만약 15%로 낮아진다면 기존 목표치에 근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한국이 지난 7월 미국과 25%→15% 인하에 합의했음에도 후속협상이 지연되면서 여전히 25%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은 이미 16일부터 15%로 인하된 세율이 적용됐다. 동일한 시장에서 경쟁하는 일본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반면, 한국산 차량만 추가 부담을 지고 있는 형국이다.


현대차의 불안 요인은 관세뿐만이 아니다. 최근 조지아 주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현장에서 400명 이상 한국인 근로자가 구금된 사건은 충격을 안겼다. 합법적 B-1 비자 소지자까지 단속 대상이 되면서 "합법과 불법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업계 불신이 확산됐다.

호세 무뇨스 사장은 "구금됐던 근로자 상당수가 첨단 배터리 생산기술의 최종 보정 및 테스트를 담당했다"며 "직원들과 가족들이 겪었을 스트레스를 이해한다. 다행히 안전하게 귀국했지만 양국이 단기 출장 전문 인력에 대한 해결책을 도출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는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와 같은 산업정책의 인센티브 효과가 강경한 이민 정책과 충돌하면서 생긴 구조적 리스크다. 기업 입장에서는 언제든 정치 변수가 투자 일정과 비용 구조를 뒤흔들 수 있다는 불확실성을 안게 된 셈이다.

여기에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라는 근본적 과제도 겹쳤다. 현대차는 이날 행사에서 향후 5년간 77조3000억원을 투입해 복합 위기를 돌파하겠다고 강조했다.

2030년 글로벌 판매목표는 555만대. 이 가운데 330만대(60%)를 EV·HEV 등 친환경차로 채우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전기차 보조금 정책의 변화, 충전인프라 확산 속도, 원자재 가격 변동 등은 여전히 불안 요인이다.

결국 현대차가 직면한 문제는 개별 기업의 역량을 넘어선다. △관세협상 지연 △비자 단속 같은 노동 리스크 △전기차시장 둔화는 한국 기업 전체가 직면한 '3중 리스크'다.

현대차는 단기적으로는 매출 확대와 원가절감으로 관세 충격을 흡수하고, SK온 등 협력사와 공조를 강화하며 공급망 리스크를 관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근본적으로는 한국 정부 차원의 제도 협상, 기업 간 공동 대응이 병행돼야 한다.

호세 무뇨스 사장의 발언은 단순한 희망적 메시지가 아니다. 관세 10%포인트 차이는 곧 현대차의 글로벌 이익률과 직결되며, 이는 투자자 신뢰와 주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미가 조속히 합의해야 한다"는 그의 말은 사실상 한국 기업 전반의 절박한 목소리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관세·구금·전기차 둔화' 현대차 美 리스크 속 돌파구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