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가 불거졌지만 고객 이탈은 예상보다 제한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통신망 보안에 대한 불신이 커졌음에도, 가입자 순감은 불과 수백명에 그쳤다.
12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사건이 알려진 4~11일 KT에서 타사로 옮긴 고객은 1만8387명이었다. 같은 기간 KT로 이동해온 가입자는 1만8167명으로, 순감 규모는 220명에 그쳤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각각 182명, 38명 순증했지만 통신 3사가 일상적으로 주고받는 규모와 큰 차이는 없었다.
이는 지난 4월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대비된다. 당시에는 하루 2~3만명씩 대규모 순감이 발생했고, 한 달 새 33만명이 넘는 고객이 빠져나갔다. 이번 KT 사태의 파장이 제한적인 것은 피해 지역이 서울 금천구, 경기 광명·부천 등 일부 수도권 지역에 집중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신호를 수신한 고객은 1만9000명, 이 중 IMSI 유출 가능성 고객은 5561명으로 집계됐다.
보안 사고가 잦아지면서 소비자들의 경각심이 무뎌진 점도 작용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 사태 이후 불안감이 컸지만 잦은 사고로 피로감이 쌓이면서 이번에는 위기의식이 덜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향후 당국 조사에서 피해 범위가 확대되거나 추가 유출 정황이 드러날 경우 여론이 급격히 악화할 가능성은 남아 있다. 특히 위약금 면제 조치가 내려질 경우 SK텔레콤 사태처럼 뒤늦게 대규모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