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데일리 = 정수미 기자] “원전(원자력발전소)을 짓는 데는 최소 15년이 걸리는 만큼 추가 원전 착공은 현실성이 없다”.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신규 원전 건설은) 가능한 부지가 있고 안정성이 확보되면 하겠지만 거의 실현 가능성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신규 원전 건설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이다.
그는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를 감당하려면) 수십 기가와트가 필요한데 이걸 원자력 발전으로 하려면 30개를 넘게 지어야한다”며 “어디에 지을 거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소형모듈원자로(SMR)도 아직 기술 개발이 안 됐다”고 지적했다.
반면 이 대통령은 재생에너지에 대해선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지금 당장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데 그 전력을 가장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은 태양광,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라며 “인프라도 깔고 전력망도 깔고 재생에너지 산업을 대대적으로 키워야한다”고 밝혔다.
원전 업계는 ‘사실상 탈원전 유턴 선언’이라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원전 업계 관계자는 “2032~2033년 완공 예정인 신한울 3·4호기 이후 신규 건설 계획이 없다면, 국내에서는 유지·보수 외에 사업 기회가 사라지고 수출에만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제 흐름과도 괴리가 잇다는 지적이다. 이 관계자는 “해외에선 원전 확대 기회가 커지는데 국내 정책은 축소로 가는 모순적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실제 미국은 2030년까지 원전 10기 착공을 목표로 내걸고 있으며, 유럽연합도 ‘원전은 친환경’이라고 공식 선언해 ‘원전 르네상스’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재생에너지 확대가 시대적 과제인 것은 분명하지만, 원전 생태계가 무너지면 산업 경쟁력이 흔들릴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정부가 원전과 재생을 어떻게 병행·관리할지에 대한 구체적 로드맵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앞서 이 대통령 역시 “저는 철저한 실용주의자”라며 “의미 있는 원전을 써야 한다. 에너지 믹스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
Copyright ⓒ 마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