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韓 상륙…삼성·SK 협력 시사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오픈AI가 한국 지사를 중심으로 국내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강화한다. 향후 반도체와 하드웨어 분야에서 삼성전자, SK와의 협력도 시사했다.


오픈AI는 10일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아시아 세 번째 지사인 오픈AI 코리아의 공식 출범을 발표하며 한국의 인공지능(AI) 대전환을 위해 힘을 쏟겠다고 선언했다. 오픈AI 코리아는 아시아에서 세 번째, 전 세계에서 열두 번째 오픈AI의 지사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이날 서울 광진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 혁신적인 기업, 빠른 디지털 도입 속도를 갖춘 AI 혁신의 최적지"라며 "한국에 지사를 세운 건 단순히 더 많은 사용자에게 다가가기 위한 것이 아닌 한국의 AI와 혁신을 위한 진정한 파트너가 되겠다는 목표의 일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픈AI가 첨단 기술과 다양한 협력을 통해 산업·학계·정부 전반에서 한국의 AI 전환을 위한 혁신을 함께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오픈AI는 한국을 차세대 글로벌 AI 허브로 선택했다. 국내에서 챗GPT 주간 사용자가 1년 전보다 약 4배 늘었고, 유료 구독자 규모도 전년 대비 3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API 사용 측면에서는 전 세계 국가 중 10위 권 내에 포함돼 있다.

오픈AI 코리아는 한국의 산업·학계·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AI 대전환을 위한 파트너가 되겠다는 비전을 내놨다. 

이미 오픈AI는 한국의 주요 기업들과의 협력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지난 2월 카카오(035720)와 전략적 제휴 이후 챗GPT와 카카오 생태계와의 연동을 준비 중이다.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바로 챗GPT를 활용되는 형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권 CSO는 "API(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모델을 기반으로 카카오 엔지니어와 오픈AI 엔지니어가 협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제이슨 권 CSO는 카카오 외에도 △SK텔레콤(017670) △GS  △토스 △LG전자(066570)  △LG유플러스 △크래프톤 △KT △야놀자 △카페24  △티빙과의 협력을 발표했다.

권 CSO는 향후 반도체와 하드웨어 분야에서 삼성전자(005930), SK와의 협력도 고려한다고 밝혔다. 

그는 "로컬 파트너십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데이터센터 수준 파트너십이나 반도체, 하드웨어에서의 SK나 삼성전자와의 파트너십을 고려한다"고 했다.

또한 오픈AI는 오는 11일 서울대학교와 업무협약(MOU) 체결을 시작으로 학계와의 연구 협력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오픈AI 포 컨트리즈' 이니셔티브를 통해 한국 정부와의 협력도 한층 강화한다. 정부가 추진 중인 소버린 AI 정책을 지원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권 CSO는 "한국은 AI 분야에서 풀스택 역량을 갖고 있다"며 "한국이 AI 주권에 있어 좋은 조건을 갖고 있는 만큼 한국 정부의 비즈니스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스타트업 생태계 역시 중점 분야 중 하나로 꼽았다. 오픈AI는 지난 2월 국내 최초 개발자 워크숍인 빌더랩을 개최한 데 이어 오는 12일에는 파운더스 데이를 연다.

또 11월에는 오픈AI의 최신 기술을 공유하는 '데브데이 익스체인지(DevDay Exchange)'를 국내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오픈AI는 국내 데이터센터 설립 의사도 드러냈다. 권 CSO는 "구독자에게 있어서도 한국은 중요한 시장이기 때문에 데이터센터 설립을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이날 오픈AI 코리아 지사장은 공개되지 않았다. 

권 CSO는 "한국 지사장과 관련해서는 곧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 법인 채용 역시 규모와 문화 등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고민 중"이라고 제언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lert

댓글 쓰기 제목 오픈AI 韓 상륙…삼성·SK 협력 시사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