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대전시는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총 4조7903억원이 반영됐다고 2일 밝혔다. 이는 당초 목표액 4조6116억원을 초과한 수치로, 올해보다 3389억원(7.6%) 증가한 규모다.

시에 따르면, 이장우 시장을 비롯한 간부진이 중앙부처와 국회를 수차례 방문하며 교통, 미래 신성장, 생활밀착형 복지 등 주요 사업 예산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성과는 대규모 교통 인프라 사업 예산 반영이다.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은 총연장 38.8km, 정거장 45개, 차량기지 1개 규모로, 총사업비 1조5056억원 중 내년도 공사비 1800억원이 반영됐다.
2028년 완공 목표로 원활한 추진이 가능할 전망이다.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35.4km, 정거장 12개, 총사업비 3577억원)도 내년도 547억원이 반영됐다. 이 외에도 경부고속도로 회덕IC 연결도로(93억원), 대덕특구 동측 진입로(132억원), 사정교~한밭대교 도로 개설(국비 35억원, 총사업비 2587억원) 등이 포함돼 도심 교통난 해소와 교통망 확충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미래 신성장 산업과 R&D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예산 확보가 이뤄졌다. 대전형 스마트농업 첨단산업밸리 조성(총사업비 2234억원) 타당성 용역비 2억원, 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사업(30억원), 혁신연구센터 지원사업(50억원), 국산 AI반도체 기반 마이크로 데이터센터 확산사업(42억원), 인간친화형 로봇 스케일업 밸리 혁신생태계 구축(30억원), 이노베이션아카데미 고도화·확산(72억원) 등 첨단 기술과 산업 인재 양성을 지원하는 사업이 포함됐다.
시민 생활과 직결된 사업 예산도 대폭 반영됐다. 전기차 보급사업(409억원)으로 총 8512대 지원이 가능하며, 산불 전문 교육시설인 국립산림재난안전교육훈련센터(총사업비 424억원, 내년도 설계비 9억원), 대덕산업단지·대덕테크노밸리 완충저류시설 설치(126억원), 대청호 장미공원 조성(30억원) 등 친환경 인프라도 강화된다.
문화·관광 분야에서는 융복합 특수영상 콘텐츠 클러스터(78억원), 온천문화공원(28억원), 통합문화이용권 지원(81억원)이 포함돼 시민 문화 향유 기회 확대가 기대된다.
안전·복지 예산도 눈에 띈다. 대전국민안전체험관 건립(34억원), 정림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 정비(80억원), 대전추모공원 제3자연장지 조성(17억원) 등 안전 인프라가 강화되며, 생계급여(3131억원)와 기초연금(5772억원) 등 복지사업으로 취약계층과 노후 생활 안정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번 정부예산안에는 교통망 확충, 미래 신성장산업, 생활 안전과 복지 강화 등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이 두루 반영됐다"며 "국회 심의 과정에서도 지역 국회의원과 협력해 미반영 사업을 확보하고, 추가 국비를 이끌어 내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치흠 대전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예산안에는 교통망 확충, 미래 신성장산업, 생활 안전과 복지 강화 등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이 두루 반영됐다"며 "국회 심의 과정에서도 지역 국회의원과 협력해 미반영 사업을 확보하고, 추가 국비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정부 예산안이 9월2일 국회에 제출된 이후 11월부터 국회 캠프를 운영하며 미반영 사업과 증액이 필요한 사업을 끝까지 챙길 계획이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