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서울아레나는 단순한 공연장을 넘어, K팝과 대중문화산업 전반을 이끄는 월드클래스 공연 성지로 성장할 것입니다"
서울 동북권 최대 개발사업 중 하나로 꼽히는 '서울아레나'가 본격적인 조성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 도봉구 창동에 위치한 서울아레나 공사 현장을 직접 찾아 공정률과 안전 관리 상황을 점검하고, 차질 없는 완공 의지를 강조했다.
서울아레나는 2009년부터 추진돼 온 '동북권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대중음악 공연에 최적화된 전문공연장을 포함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복합문화시설이다. 2023년 11월 첫 삽을 뜬 이후 오는 2027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순항 중이며, 현재 공정률은 34%로 계획 대비 114%를 상회하고 있다.

이날 오 시장은 "1년 반 전만 해도 이 사업을 계속할지 고민할 만큼 어려움이 많았다"며 "서울시가 폐기물 처리, 공연 유치 등 다양한 사안에 긴밀히 협의했고, 민간사업자인 카카오도 과감한 투자를 결정해 오늘 이 자리에 설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서울아레나는 최대 2만8000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대형 공연장을 비롯해, 7000석 규모의 중형 공연장과 상업시설 등으로 구성된다. 최첨단 음향 시스템과 무대 장치, 시야 확보를 고려한 관람석까지 갖춰, 글로벌 아티스트와 공연 제작사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대중음악 특화 공연장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시는 이 공간을 단순한 공연장이 아닌, 문화산업계의 오랜 숙원을 해소하고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특히 서울아레나를 찾는 연간 약 270만 명의 관람객 유입을 통해 서울 동북권과 인근 경기도 지역 경제 활성화의 기폭제 역할도 기대하고 있다.

나아가 시는 서울아레나가 들어서는 창동 일대를 문화·관광 복합지구로 발전시키기 위한 연계 사업도 추진 중이다. 이미 개관한 서울시립사진미술관과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중랑천 수변 공간과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창동역과 노원역, GTX-C 노선 개통에 맞춰 보행로 신설 등 교통 접근성도 크게 향상시킬 계획이다.
오 시장은 "서울아레나는 그간 개발이 뒤처졌던 동북권에 있어 화룡점정 같은 존재"라며 "2027년부터는 K팝의 중심이 강남이 아닌 강북이라는 메시지를 전 세계에 발신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시는 창동 일대를 '일상 속 문화예술 도시'로 특화 개발하는 장기 계획도 함께 진행 중이다. 단순한 공연 인프라 조성을 넘어, K콘텐츠 중심지로서 서울 동북권의 위상을 세계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