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라임경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4일 저축은행의 설립 목적을 강조했다. 지역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자금 공급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당부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이날 오전 11개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를 열었다.
이 원장은 "저축은행 업권은 본래 영세상인과 서민가계의 금융부담을 완화해 주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됐다"며 "하지만 그동안 양적 성장과 단기 수익에 치우치면서 본연의 역할보다 고위험 부동산 대출에 치중한 측면이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앞으로는 부동산 경기에 편승한 고위험 여신 운용을 지양하고, 지역 내 서민·중저신용자·소상공인에 대한 자금공급 역할에 집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사태와 관련해 저축은행의 무분별한 대출 문제가 재차 거론됐다. 저축은행업계는 공동펀드를 조성해 올해 상반기에만 1조4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등 건전성 관리에 힘을 쏟고 있다.
이 원장은 "잔여 부실 PF 정리 등 건전성 관리에 소홀함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신속한 건전성 회복은 저축은행이 금융소비자의 신뢰받는 거래상대방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선결 조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불식되고 나면, 저축은행업계의 숙원사항인 영업규제 완화 논의도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업구역 제한과 인수·합병(M&A) 관련 규제의 완화가 인센티브로 제시된 셈이다.
이 원장은 "모든 업무 수행에서 '금융소비자보호'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저축은행 건전성 악화의 원인이 된 PF 부실도 따지고 보면 금융소비자에 대한 고려보다 단기 수익성에만 치중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상품 설계와 포트폴리오 기획 단계부터 판매와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금융소비자의 관점으로 득실을 꼼꼼하게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